
부산에서 지스타(G-STAR) 기간 택시 기사님들이 한결같이 하는 말이 "지스타가 잘되면 지역경제가 돌아요"였다. 수십만 명이 도시로 몰리며 행사장을 둘러본 뒤 관광·숙박·식음·운수업까지 소비가 이어진다는 의미다. 부산시가 지스타 유치에 공을 들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스타는 4년마다 공모로 개최지를 정하고, 중간평가를 거쳐 4년 연장 여부를 판단하는 구조다. 부산시가 2009년 지스타를 처음 유치한 이후 매년 외부 유입을 늘리고, 도시 브랜드를 키운 행사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스타가 단순히 '게이머들의 축제'를 넘어 지역경제를 움직이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배경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지스타가 예전만 못하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참가 기업 규모는 유지되고 있지만, 해마다 규모 경쟁을 벌이며 덩치를 키우는 글로벌 게임쇼들과 비교하면 성장세가 정체돼 있다는 것이다. 특히 8월 독일 게임스컴, 9월 도쿄게임쇼 이후에 열리는 일정 탓에 기업들이 지스타에서 신작을 공개하기도 어렵다. 시연 버전 제작, 부스 운영 인력 투입 등 준비 공정이 방대한 데다 비용 대비 효과가 불확실해 "지스타 참가가 과연 수지타산이 맞는가"라는 회의론도 나온다.
조직위원회의 유치 활동에 대한 지적도 있다. 국내 기업은 물론 해외 업체를 더 적극적으로 끌어와야 했으나 그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다. 올해 블리자드 등 유명 해외 기업이 참석했지만 신작 공개 없이 최소 구성의 체험 부스만 운영했다. 해외 업체 유치를 위한 공간 제공과 같은 특혜로 국내 기업과 형평성 논란까지 일었지만, 정작 전시회를 실질적으로 끌어올릴 글로벌 기업 유치에는 번번이 실패했다는 비판이다.
지스타가 한 단계 도약하려면 산업·지역·정책이 함께 움직이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지스타 2025’가 개막한 지난 13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관람객들이 신작 게임을 즐기고 있다. (사진=뉴시스)
독일 게임스컴과 일본 도쿄게임쇼가 글로벌 시선을 흡수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지스타 운영이 지속된다면 한국 최대 게임쇼라는 범주에만 머물 수 있다. '국제 게임 박람회'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행사 틀을 다시 짜야 한다는 의미다.
정책적 시너지도 필요하다. 게임업계가 대통령의 지스타 방문을 기대했던 이유 역시 이 때문이다. 최고지도자의 방문은 행사 주목도를 높이고 해외 홍보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중요한 마케팅 요소다. 게임산업에 정부 차원의 지원 신호가 전달되는 효과도 크다. 대통령이 아니더라도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의 참석만으로도 지스타가 단순한 게임 축제가 아니라 지역경제를 살리고 국가 미래산업을 육성하는 플랫폼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지스타는 지금 새로운 기로에 서 있다. 산업·지역·정책이 함께 움직이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단순히 행사를 치르는 것을 넘어 모두가 함께 키워가는 지스타가 될 때, 한국의 게임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확실한 존재감을 갖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