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마트팩토리 정책, 양적목표 달성 치중"

중소기업연구원 보고서…"기초단계 수준으로 전개될 가능성 높아"

입력 : 2018-08-19 오전 6:00:00
[뉴스토마토 최원석 기자] 국내 스마트팩토리 보급사업은 양적 목표 달성에 치중돼 기초단계 수준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문제 해결을 위해선 수요기업 중심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제기됐다.
 
중소기업연구원은 '한·독 스마트팩토리 정책 비교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19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 3.0전략’의 실체인 스마트팩토리 보급 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시했다.
 
2014~2017년 4년 동안 5003개의 중소기업에 스마트팩토리가 지원, 보급됐다. 정부 지원 3495개, 민간 지원 1508개 등으로 총 2669억원이 투입됐다. 구축완료 기업에 대한 분석결과, 생산성 30% 증가, 불량률 45% 감소, 원가 15% 절감, 고용창출(기업당 평균 2.2명) 등의 성과를 보였다.
 
스마트팩토리 구축 과정에서 문제점도 드러났다. 대부분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수준은 생산정보 디지털화 및 제품 생산이력을 관리하는 수준의 기초단계에 머물러 있었다(76.4%). 생산시스템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 분석하고, 시스템을 통해 생산공정을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을 의미하는 '중간 2' 단계의 구축비중은 2.1%에 불과했다.
 
정부의 스마트제조 지원사업은 정량적 목표달성을 위해 기초단계 지원, SW 부분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공급기업의 요소기술 및 센서 등 HW기술은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20~40%)에 그쳤다. 중소 수요기업의 운영인력 부족, 공급기업의 개발인력이 부족했으며, 구축 수요는 대부분 지역에서 발생(67.2%)하나 지원 조직은 수도권에 집중되는 문제를 보였다.
 
보고서는 독일 인더스트리 4.0의 모범 사례를 통해 국내 스마트팩토리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독일은 스마트기술의 산업현장 적용, 확대를 위한 '중소기업 4.0 (Mittelstand 4.0)'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23개의 '중소기업4.0-역량센터'를 구축해 컨설팅 및 기술이전이 용이토록 하고 있다. 350여개의 모범사례를 온라인 지도를 통해 상세하게 제공해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효과를 실감케 하는 등 수요기업 중심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김광희 수석연구위원은 "우수 연구소 및 기업을 중심으로 지역별 컨설팅센터를 지정, 운영하는 등 컨설팅 역량을 대폭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모범사례 및 업종별 학습형 스마트팩토리의 조속한 확대로 중소기업의 투자마인드 및 학습기회를 제고해야 한다"고 정책 제언했다.
 
또한 "모듈형 제품 보급 확대로 스마트팩토리화에 대한 부담을 경감해야 하고, 모듈화 및 업종별 플랫폼을 구축해 중소 전문업체들이 모듈형태로 플랫폼에 참여해 기술향상을 기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양성 및 재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최원석 기자 soulch39@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최원석 기자
최원석기자의 다른 뉴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