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서 창업허브로 거듭난 창조경제혁신센터)①존폐 위기서 '혁신성장' 전초기지로

리모델링·사업강화 통해 3300여개 창업기업 육성

입력 : 2018-12-17 오전 8:44:12
[뉴스토마토 최원석 기자] 새정부 들어서 청산해야 할 과거 정권 잔재로 지목되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존폐 위기에서 벗어나 '창업허브'로 거듭나고 있다. 문재인정부는 센터를 존속하되 혁신성장의 지역 거점이 되는 방향으로 역할을 재정립했다. 센터 운용이 4년차에 접어들면서 운영 성과도 차츰 나타나는 모습이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2018년 6월말 누적 기준,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3326개 창업기업(7년 이내)을 육성했다. 이들 창업기업은 7762억원 규모 1271건의 투자를 유치했다. 신규채용은 5943명에 달한다. 이들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사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멘토링·법률·금융·IP 상담이 5만842건, 시제품 제작이 2만8248건, 교육·강연이 23만3937명 등이다. 
 
개별기업 투자비를 제외한 예산 규모가 2018년 599억원(국비 377억, 지방비 222억)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성과라는 평가다. 센터별 국비 지원은 평균 22억원 수준이다. 이 같은 긍정적인 성과는 혁신센터 청산보다 리모델링으로 정책방향을 선회한 요인이 됐다.  
 
혁신센터는 창의적 아이디어 사업화·창업 등 지역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2014년 전국 17개 시·도에 설립된 비영리 재단법인이다. 창업기업 보육 및 투자, 지역의 다양한 혁신활동 지원, 창업기업 일자리 매칭 등이 주요 사업이다. 대기업이 혁신센터를 일대일 전담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게 특징이다. 대기업은 사업 역량을 활용해 창업을 장려하고 중소기업·스타트업 등과 협업한다. 
 
하지만 정권이 바뀌자 박근혜정부의 창업 육성사업이던 혁신센터는 위기를 맞게 됐다. '창조경제'가 적폐의 상징으로 낙인 찍히면서 센터도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센터명에 '창조경제'란 단어가 붙은 만큼 박근혜정부의 색채가 짙어 청산해야 한다는 시각이 많았다. '국정농단'으로 인한 박 전 대통령 탄핵 등으로 국정공백이 길어지며 창조센터도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다. 
 
문재인정부는 혁신센터의 운영성과를 점검한 결과, 지역에 창업·벤처기업을 지원하는 기관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혁신센터 청산보다 유지를 택했다. 과거 정권의 긍정적 사업을 계승한 상징적 사례로 남겨두는 편이 낫다고 판단했다는 후문이다. 정부는 창업인프라가 열악한 지역에서도 벤처창업 생태계의 구심점 역할 수행했다는 데 긍정적 진단을 내렸다. 혁신센터는 계륵 처지에서 벗어나 문재인정부가 제시하는 '혁신성장'의 전초기지 역할을 할 거점으로 탈바꿈했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지난해 11월에 '혁신센터 개편 기본방향'을 발표했다. '개방성, 자율성, 다양성’의 3대 원칙 하에 역할 재정립과 사업 확대 등이 개편방안의 골자다. 의사결정을 기존 하향식에서 상향식으로 바꾸고, 초기창업과 투자기능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혁신센터별 사업 파트너가 센터별 17개 전담대기업 위주에서 150여개의 협업 파트너로 확대됐다. 특정 대기업에서 오픈이노베이션 수요가 많은 중소·중견기업, 대학, 공공기관으로 참여 파트너를 늘린 것이다. 센터를 중심으로 폭넓은 파트너들과 상호 연계해 새로운 사업모델과 관련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시너지 창출하겠다는 취지다.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혁신성장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부분이 창업, 지역으로의 혁신 확산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며 "혁신센터가 지역의 소통의 허브가 돼 기업, 대학, 연구자, VC(벤처캐피탈)등의 다양한 혁신주체를 연결시킨다면 혁신성장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파트너가 150여개로 늘어난 것은 각 센터가 자율적으로 노력한 성과"라며 "오픈이노베이션으로 한발짝 나아가 큰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정부에서도 적극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원석 기자 soulch39@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최원석 기자
최원석기자의 다른 뉴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