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이력이 없는 30세 이상 성인 1만36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공복혈당 수치와 대사질환 연관성 분석 결과. 자료/서울아산병원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공복혈당 수치가 당뇨병 기준에는 미달되지만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된다면 각종 대사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김영식 가정의학과 교수, 강서영 국제진료센터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에선 당뇨병을 진단받지 않은 성인 1만3000명을 대상으로 공복혈당 수치와 대사질환 및 생활습관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남녀 모두 공복혈당이 높을수록 비만, 복부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및 과음을 동반하는 비율이 일관되게 증가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대규모 인구를 바탕으로 당뇨병 전 단계와 대사질환의 연관성을 처음 입증해 공복혈당 검사의 유익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팀은 7차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년)에 참여한 30세 이상 성인 가운데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병력이 없는 1만3625명을 공복혈당 수치에 따라 △90㎎/㎗ 미만 △90~99㎎/㎗ △100~109㎎/㎗ △110~124㎎/㎗ △125㎎/㎗ 이상인 집단으로 분류했다.
공복혈당 수치에 따라 나눈 5개 집단에서 비만, 복부비만을 동반한 비율을 분석한 결과, 공복혈당이 높은 집단일수록 해당 비율이 뚜렷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공복혈당이 90㎎/㎗ 미만인 집단에서 비만한 사람의 비율은 27.2%였다. 그에 비해 90~99㎎/㎗인 집단은 38.3%, 110~124㎎/㎗인 집단은 55.2%로 2배 넘게 증가했다.
여성에서도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공복혈당 90㎎/㎗ 미만인 집단에서는 비만한 사람의 비율이 16.9%였다. 반면 90~99㎎/㎗인 집단은 26.8%, 110~124㎎/㎗인 집단은 51.5%로 공복혈당이 높아질수록 비만한 사람의 비율이 많아졌다.
혈압,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 지표 역시 공복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악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남성과 여성 모두 공복혈당 증가에 따라 고혈압(수축기 혈압 140mmHg,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 고중성지방혈증(중성지방 150㎎/㎗ 이상), 낮은 HDL 콜레스테롤혈증(남성은 HDL 콜레스테롤 40㎎/㎗ 미만, 여성은 50㎎/㎗ 미만)을 앓는 비율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공복혈당 증가와 과음 습관과의 연관성도 확인됐다. 공복혈당이 90㎎/㎗ 미만인 집단에서 과음하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의 경우 20.8%, 여성은 11.0%였는데 110~124㎎/㎗인 집단에서는 각각 38.6%, 11.9%로 증가해 과도한 음주가 혈당관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습관 가운데 운동은 공복혈당 증가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절주나 체중감량 없이 운동만 하는 것은 혈당관리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풀이했다.
김영식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당뇨병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공복혈당 수치가 90㎎/㎗ 이상이면 고혈압, 비만, 복부비만, 이상지질혈증 등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이 함께 증가한다"라며 "혈당을 연속성 개념으로 접근해 혈당 증가를 방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비만하거나 당뇨병 가족력이 있거나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전 단계에 해당하는 사람이라면 매년 혈당검사를 받는 게 좋다"라고 말했다.
강서영 서울아산병원 국제진료센터 교수는 "혈당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식습관과 운동 등 평소 생활습관을 신경 써야 한다"라며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와 통곡물 위주의 식사를 하는 대신 설탕이나 액상과당이 첨가된 식품과 알코올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이어 "가볍게는 걷기부터 시작해서 조깅, 자전거타기, 등산 등의 운동을 하며 신체활동을 늘릴 것을 권장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결과는 당뇨병 연구분야 저명 학술지 '당뇨병 저널(Journal of Diabetes)' 온라인판 최근호에 게재됐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