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원석기자] "국내 제약사들이 신약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배영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R&D 정책위원회 전문위원은 24일 협회에서 개최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제약산업'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배 전문위원은 "협회 차원에서 인공지능 신약개발 지원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며 "인공지능·빅데이터 제약업계 도입을 위한 TF를 구성한 상태다. 향후 정부 지원을 요청하고 정부 인공지능 추진사업에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배 전문위원은 자본력과 연구력이 열세인 국내 제약업계가 글로벌로 나아가려면 인공지능이 필수적이라고 말한다. 인공지능이 신약개발에 본격적으로 활용되면 10명 이하의 소형 제약기업도 블록버스터 약물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은 방대한 데이터를 취합하고, 특정 후보물질을 예측하며, 임상시험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신약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신약 연구개발 총 비용은 2015년 1498억달러(약 167조원)에서 연 평균 2.8% 증가해 2022년 1820억달러(약 203조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5000여개 이상의 신약후보물질 가운데 1개만이 최종적으로 판매허가를 받는 것으로 알려진다. FDA 허가를 위해 소요되는 임상 기간은 1990~1994년 평균 4.6년에서 2005~2009년 7.1년으로 늘었다.
글로벌 제약업계에서도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약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화이자는 인공지능 플랫폼인 IBM의 신약 탐색용 왓슨을 도입했다. 테바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신약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존슨앤드존슨(파트너사: 베네볼런트AI), 화이자(IBM-왓슨), 머크(아톰와이즈), 노바티스(인실리코메디슨)는 신약후보물질 탐색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인공지능 전문업체와 제휴를 체결했다.
배 전문위원은 "인공지능은 치료 중심에서 예측과 예방 중심으로 제약 부문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킬 것"이라며 "국내 제약업계에도 보건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과 신약개발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기대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인공지능 신약개발 벤처기업이 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공지능 접근방안으로 고려해야 할 사안은 수요자 중심의 인력 양성과 국내 제약 산업 실정에 맞는 인프라 구축"이라며 "인공지능 신약개발 지원센터에 대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제약산업'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진=협회
최원석 기자 soulch39@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