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태현 기자] 서울 지역 초등학생이 교문 밖을 나섰을 때 돌봐주는 우리동네키움센터 개수가 지역별로 최대 13배까지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격차를 메우려고 시도 중이지만 코로나19 여파로 관련 예산은 줄어든 상황이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는 올해 구립 우리동네키움센터(센터)의 올해 물량을 9개 자치구에 우선 배정한다.
해당 자치구들은 지난해 기준 5곳 미만 설치된 곳들이다. 세부적으로는 △중랑·관악구 각 2곳 △강북·금천·서초·양천·동대문구 각 3곳 △강서·서대문구 각 4곳이다. 수요가 없어서 설치가 부진한 것도 아니다. 최근 교육부·보건복지부·여성가족부·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21년 범정부 온종일 돌봄 수요조사'에서 금천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은 공급이 부족한 16개구에 포함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지역별 양극화 역시 심각하다. 전체 194곳 중 54.6%인 106곳이 7개 자치구에 편중 설치됐다. 센터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26곳이 있는 노원구로 중랑·관악구 2곳의 13배에 달한다.
게다가 서울시가 선도 사례를 만들려는 목적으로 진행한 집중지원구 선정이 격차를 더 별렸다. 집중지원구마다 71억7300만원을 추가 지원해 센터 43곳을 설치할 수 있었다. 노원구 다음으로 센터 개수 순서를 보면 구로구 18곳, 송파구 16곳, 동작구 13곳, 광진·성북구가 각 11곳으로 5개구 모두 집중지원구다. 성동구 정도가 집중지원구가 되지 않고도 11곳을 달성했다.
자치구마다 편차가 나는 요인은 공간 확보의 어려움 및 비용 부담 등이다. 설치비는 중앙정부와 서울시가 대주지만, 그나마 비용 절감을 위해 신축보다는 임차나 리모델링을 하는 경향이 있다. 기존 건물 중에서 학교에서 도보 10분 거리, 50m 내 청소년 유해시설이 없는 공간을 찾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또 자치구는 센터 1곳당 연간 운영비 1860만원 중 45%를 분담하고 있다. 비교적 소액이라도 개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부담이 커지는 구조다.
지역에 따라서는 기존 돌봄 시설과의 갈등을 조정해야 하는 과제도 있다. 양천구 관계자는 "지역아동센터가 관내 24곳이 있어 협의를 해서 만들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센터의 양극화는 돌봄의 양극화로 이어지기 쉽다는 평이 나온다. 영유아는 어린이집이 담당하지만 초등학생 저학년의 경우 방과 후, 방학, 휴일 돌봄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기존 지역아동센터는 주로 저소득 가정 아동을 담당해, 학부모들은 모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 인프라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올해 편차를 메꾸려고 하지만 예산 부족과 자치구와의 협업이라는 이중고가 기다리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예산이 깎이면서 설치 개수가 줄어들게 됐다. 지난 2018년 4곳에서의 시범 도입 이래 2019년 97곳, 지난해 93곳 늘어났던 센터는 올해 55곳으로 '반토막' 나고 오는 2022년 126곳 늘어나는 구조다.
그나마 줄어든 물량을 실제로 집행하는 일도 쉽지는 않다. 9개 자치구가 물량 55곳을 모두 가져가는 것도 아닐 뿐더러, 공간 확보 등의 이유로 다시 조성이 미비할 가능성도 있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는 올해 우리동네키움센터(센터)의 올해 물량을 9개 자치구에 우선 배정한다. 사진은 지난 1일 금천구 독산1동 우리동네키움센터 모습. 사진/금천구
신태현 기자 htenglish@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