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잡학사전)배앓이 길어지면 크론병 의심

올바른 식습관 유지…약물치료만큼 심리도 중요

입력 : 2022-06-22 오전 6:00:00
복통이나 설사 등 배앓이 증상이 한 달 이상 나아지지 않는다면 병원을 찾아 크론병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미지=픽사베이)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복통과 설사로 외출이 두려운 20대 직장인 여성 진모씨는 증상 초기 과민성장증후군으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으나, 설사와 복통이 한 달간 이어지고 혈변이 보여 전문의를 찾은 결과 크론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코론병은 궤양성대장염과 함께 염증성장질환을 대표하는 질환이다. 장에 염증이 생기는 만성질환으로, 대부분 1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생한다.
 
크론병은 유전적 요인과 함께 환경인자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한다. 특히 체내 면역학적 기전이 주로 문제가 돼 발생한다.
 
이창균 경희대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 교수는 "크론병은 대부분 젊은 층에서 발생해 발병 초기 과민성장증후군으로 오인하거나 증상이 창피해 병원 방문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면서 "설사와 복통, 체중감소, 혈변 등이 한 달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반드시 전문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코론병과 궤양성대장염으로 대표되는 염증성장질환은 30%의 유전적 요인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주로 환경인자에서 비롯된다. 음식물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항생제 등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기 출생 후 1년 이내 항생제 노출이 어린 시절 발병하는 염증성장질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염증성장질환이 생겼다면 가장 먼저 식습관을 올바르게 유지해야 한다. 특히 음식물의 경우 질병 초기에는 거친 음식은 피하고 담백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또 장이 협착되면 소화가 어려운 질긴 섬유질이나 고형식은 배제한다. 탄산, 패스트푸드, 튀김류는 장에 좋지 않은 만큼 피하는 것이 좋다. 인공첨가물, 합성향미료 등은 장내 투과성을 떨어뜨려 장내 환경을 좋지 않게 만들어 주의해야 한다. 이 밖에 냉동식품과 초가공식품 과자 등은 가급적 배제하고 건강한 음식을 섭취해 건강한 장내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염증성장질환은 중증 난치성 질환으로 완치개념이 없다. 한 번 발병하면 평생 관리해야 하는 만성질환이다. 따라서 조기에 고위험군 환자를 선별해 초기부터 강력한 항염증 약물을 적극적으로 투여, 질병의 자연 경과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를 시작한 이후에는 철저한 모니터링 과정을 통해 치료 목표를 지속 확인하고 궁극적으로 장내염증 호전 및 합병증 등의 발병이 없는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설정한다.
 
이창균 교수는 "과거 전통적 치료약제는 일시적 증상 호전은 있었지만 장기적인 경과는 바꾸지 못했다"며 "따라서 질병 진행으로 합병증이 발생, 수술 및 입원을 반복하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최근 치료전략은 초기에 강력한 항염증 약물로 장내 점막염증을 호전, 합병증을 미리 예방하는 적극적인 치료로 접근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크론병이 지속되면 장이 점차 좁아지는 협착, 늘어나는 누공, 이로 인한 구멍이 생기는 천공 등이 발생해 응급수술이 필요하고 장을 절제하는 경우가 많다.
 
궤양성대장염 합병증도 크론병과 비슷한데,  만성적 설사와 혈변 외 급박변은 삶의 질을 저하하는 증상 중 하나다. 대장염 질환이 지속될 경우 장내점막과 점막하층 섬유화로 대장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8년 이상 대장염이 지속된 환자의 경우 대장암 검사가 필요한 감시 대상으로 분류된다.
 
치료 개시 후 염증 호전 여부도 중요하다. 확인을 위해 크론병은 6~9개월, 궤양성대장염은 3~6개월 뒤 대장내시경검사를 진행한다. 필요한 경우 영상검사, 혈액, 대변검사로 장내 점막 염증 호전 목표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 결과 치료 목표에 도달한 경우 치료를 유지하고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로 염증 개선을 모색한다.
 
과거 전통적 치료법은 아미노살리실산 등 비교적 가벼운 항염증제가 주로 사용됐다. 증상이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나 면역조절제 등이 투여됐다. 이들 약제는 경증에서는 문제가 없었으나 중증이나 중등증 이상에서는 질병이 지속 진행되고 수술 등 합병증을 막기 어려웠다.
 
최근에는 다양한 약제 개발로 개인 맞춤형 치료가 이뤄지고 있다. 체내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염증물질과 염증경로를 차단하는 표적치료제가 중증환자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 약제는 초기 정맥주사제로 개발됐으나 최근에는 간편한 피하주사제도 개발됐으며, 경구약제도 개발돼 치료에 쓰이고 있다.
 
이창균 교수는 "적절한 약물치료도 중요하지만 환자들의 심리나 영양치료도 필요하다"면서 "증상이 심해지면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영양흡수도 어려운데 특히 영양공급이 필요한 소아 환자의 경우 성장저해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어 "진단 초기 강력한 약물치료와 함께 심리학적 및 영양 상태 등을 수립, 환자들의 심리상태부터 신체적 문제까지 모두 다뤄야 한다"고 덧붙였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동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