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유진 기자] 석유류 가격의 하락 요인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개월만에 2% 후반대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식품 값이 오르면서 장바구니 물가와 전기·가스를 비롯한 공공요금, 외식 물가는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가 4%대의 높은 상승세를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2020년 100기준)는 111.12로 전년 동월보다 2.7% 상승에 머물렀습니다.
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 5.2%에서 2월 4.8%, 3월 4.2%, 5월 3.3%로 둔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2%대 물가상승률은 지난 2021년 9월(2.4%) 이후 21개월 만입니다. 석유류 가격의 하락 폭 확대 등으로 물가 상승세가 둔화된 요인입니다.
석유류 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25.4% 감소했습니다. 이는 1985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하락폭입니다. 경유는 32.5%, 휘발유는 23.8%, 자동차용 LPG는 15.3% 떨어졌습니다.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6월보다 2.3%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식품이 4.7%로 상승률의 주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품목별로 보면 빵 11.5%, 라면, 13.4%, 양파 20.5%, 오징어 14.2%, 닭고기 13.7%, 참외 19.3%, 사과 11.1% 등이 올랐습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이며 전기·가스·수도는 25.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주택가의 요금 고지서.(사진=뉴시스)
에너지 관련 물가도 여전히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기·가스·수도는 25.9% 상승해 전월 23.2%보다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기·가스·수도는 지난 3월 28.4%에서 4월 23.7%, 5월 23.2%로 떨어졌으나 다시 상승한 겁니다. 항목별로 보면 전기료 28.2%, 도시가스 29.0%, 지역난방비는 36.6%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서비스, 공업제품, 농축수산물도 전년 동월보다 상승했습니다.
서비스의 경우는 전년 동월보다 3.3%, 전월 대비 0.1% 상승했습니다. 외식물가에서는 6.3%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전년 동월보다 4.1% 상승했습니다.
공업제품은 전년동월대비 0.2% 상승했습니다. 다만 전월과 비교해서는 0.4% 하락했습니다. 농축수산물은 전년동월대비 0.2% 상승했으며 전월대비 0.1% 하락했습니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고 서비스 부문의 상승률이 둔화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21년 9월 이후 처음으로 2%대를 기록했다"고 말했습니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지수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1% 상승했습니다. 전월대비로는 0.2% 올랐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의 근원물가는 지난해 6월보다 3.5% 상승했으며 전월보다 0.1%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절과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된 '신선식품지수'는 5월보다 0.9% 하락했지만 지난해 6월보다 3.7% 상승했습니다.
생선·해산물 등 신선어개는 전년동월대비 6.2% 상승하는 등 신선식품지수의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신선채소는 3.6%, 신선과실은 2.2% 올랐습니다.
지출 목적별로 보면 전월대비 주택·수도·전기·연료(0.5%), 식료품·비주류음료(0.2%), 보건(0.4%), 음식·숙박(0.2%), 기타 상품·서비스(0.1%), 주류·담배(0.1%)는 상승했습니다.
집세의 경우는 월세(0.7%), 전세(0.3%)가 모두 상승하면서 0.5% 올랐습니다. 공동주택관리비도 5.3% 오름세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의류·신발(-0.1%), 오락·문화(-0.1%), 가정용품·가사서비스(-0.1%), 교통(-1.6%)은 하락했습니다.
전년동월대비 수치로는 주택·수도·전기·연료(6.1%), 음식·숙박(6.3%), 식료품·비주류음료(4.2%), 의류·신발(7.8%), 기타 상품·서비스(5.8%), 가정용품·가사서비스(5.6%), 오락·문화(3.2%), 보건(1.8%), 교육(1.9%), 통신(0.9%), 주류·담배(0.3%)가 상승했습니다. 교통(-11.0%)은 하락했습니다.
김보경 심의관은 "같은 요인이라도 물가의 상·하방 요인이 달 될 수 있다"며 "국제 원자재 가격이라든지 환율이라든지 국내 경기 상황에 따라서 상·하방요인이 된다. 특히 상방요인으로 꼽자면 공공요금 인상 요인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6월보다 2.3%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뉴시스)
세종=김유진 기자 yu@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