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세계 제약·바이오·건강기능 산업 전시회를 찾은 관람객들이 의약품과 건강보조식품 등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김성은 기자] 올해 들어 건강기능식품 관련 기준 위반으로 제조 정지나 제품이 폐기된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경남 창원시 성산구)이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건강기능식품 각종 단속 실적'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올해 6월까지 제조가 정지되거나 제품이 폐기된 건강기능식품은 모두 310건으로 나타났습니다.
GMP 관리기준 위반, 기준·규격 위반, 품목제조신고 위반, 자가품질검사 의무 위반 등에 따른 조치입니다.
제조 정지 또는 제품 폐기 건수는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 53건, 2020년 35건, 2021년 50건에서 지난해 62건으로 증가하더니 올해 들어 6월까지 110건으로 급증했습니다.
기능성분을 있는 것처럼 속이거나 함량을 미달해 판매하다 적발된 경우는 모두 20건으로, 지난해만 7건으로 조사됐습니다.
들어가지 말아야 할 이물이 혼입된 경우는 총 15건입니다. 2021년 금속성 이물 검출 및 유해물질 검출 등 3건, 올해 6월까지 유해물질 검출 등 4건을 포함한 수치입니다.
아울러 식약처 집계 결과, 2019년부터 올 6월까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이상사례 신고는 총 5562건으로, 이상 현상 발생한 사례는 8894건입니다.
증상별로 △소화불량이 4281건으로 48.1%를 차지했으며, △가려움 1560건(17.5%) △어지러움 912건(10.3%) △배뇨곤란 461건(5.2%) △가슴 답답함 381건(4.3%) 등입니다.
강 의원은 "건강과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관심으로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더욱 철저한 안전 관리와 함께 안전한 구매가 이뤄질 수 있도록 대국민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자료=강기윤 의원실)
김성은 기자 kse5865@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