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토마토]워크아웃 시작된 태영건설…현실은 '산 넘어 산'

우여곡절 끝 채권단 워크아웃 동의…3~4개월간 현장 실사 예정
실사 결과 '문제가 되는' 우발채무 규모 관건
워크아웃 본격화 뒤 주요 프로젝트·인력 구조조정 불가피 전망

입력 : 2024-01-12 오후 1:30:27
이 기사는 2024년 01월 12일 13:30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권성중 기자] 태영건설(009410)의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개시가 마침내 결정됐다. 그러나 태영건설의 정상화를 위한 과정은 이제 막 시작됐다. 태영그룹 오너 일가의 주요 계열사 지분까지 내걸며 채권단의 마음을 돌려 워크아웃 절차에 돌입했지만, 여전히 채권단이 등을 돌릴 수 있는 위험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아울러 본격적인 워크아웃이 시작된다면 태영건설의 고강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태영건설 여의도 사옥.(사진=태영건설)
 
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지난 11일 제1차 채권자협의회에서 동의율 96.1%로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개시를 의결했다. 산업은행에 따르면 워크아웃 개시를 포함, 모든 안건이 결의됐다. 이에 따라 태영건설의 금융채권은 이날부터 3개월간(최대 4개월) 동결된다. 채권단은 이 기간 동안 태영건설의 전국 프로젝트 현장들을 실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상화’ 가능성을 분석할 계획이다.
 
태영건설 2.5조 vs 채권단 9.5조…우발채무 규모 관건
 
워크아웃 순항을 위한 첫 번째 요건은 태영건설이 실제로 보유한 우발채무 규모다. 태영건설이 주장하고 있는 회사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액과 채권단이 주장하는 액수의 간극이 매우 큰 상황이다. 앞으로의 실사 과정에서 우발채무 규모가 확대된다면 채권단이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을 중단할 가능성이 높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지난해 12월28일 금융당국이 발표한 회사의 PF 보증액은 약 3조7000억원 수준이었다. 그러나 윤세영 태영그룹 창업회장은 이달 3일 채권단 설명회에 참석해 “실제 문제가 되는 우발채무는 2조5000억원 정도”라고 밝혔다.
 
실제 금융위원회가 밝힌 금융권 익스포저(리스크 노출액)는 총 4조5800억원이다. 직접 여신 5400억원, PF 보증액 4조300억원이다. 이 가운데 사회간접자본(SOC) 보증액이 약 1조원, 분양률 75% 이상 사업장의 보증액이 1조원 규모로 이를 제외한 2조5000억원이 태영건설이 주장하는 ‘문제가 되는 우발채무’인 것이다.
 
태영건설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인터뷰에서 “SOC 보증의 경우 정부가 보증하는 PF이고, 분양률 75% 현장의 PF 역시 위험 요소라고 평가하지 않고 있다”며 “브릿지론 1조2000억원과 본PF로의 전환이 완료됐지만 분양률이 75% 미만인 사업장의 PF 보증액 1조3000억원을 합해 2조5000억원이라고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채권단이 바라보는 태영건설의 우발채무 규모는 이보다 크다. 태영건설이 시공사로 참여하고 있는 현장에 대한 연대보증, 지급보증, 채무인수, 책임준공 제공 PF 사업장 등을 문제가 되는 우발채무로 해석하고 있다.
 
이 같은 기준에 해당되는 태영건설의 사업장은 약 120곳으로 보증 제공 건수는 945건, 보증액은 총 19조84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태영건설이 책임져야 하는 PF 우발채무 규모는 약 9조5000억원에 달한다.
 
우발채무 늘어날 경우 워크아웃 중단 가능성도
 
채권단은 실사 기간 동안 이러한 태영건설의 실제 위험 우발채무 규모를 꼼꼼히 파악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우발채무 규모가 크게 늘어날 경우 채권단의 워크아웃 절차 중단 가능성도 높아진다. 실제 건설업계의 가장 최근 사례인 지난 2013년 쌍용건설의 워크아웃 실사 과정에서 당초 추산된 4000억원을 훌쩍 뛰어넘는 1조원의 우발채무가 파악돼 채권단의 워크아웃 개시 결정이 미뤄진 전례도 있다.
 
현장 실사 등을 통해 채권단이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본격화를 선언하는 시점은 3~4개월 뒤인 4~5월이다. 이때 채권단협의회는 경영 정상화 계획을 확정하고, 한 달여 뒤 태영건설과 특별약정(MOU)을 체결한다. 본격적인 기업구조개선작업의 시작이다.
 
개발사업 비중이 높은 태영건설의 현장 구조조정이 먼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채권단 주도로 수익성이 모호한 프로젝트는 매각 혹은 PF 차환을 통해 정리될 전망이고, 이후엔 현장 감소에 따른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익명을 요구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인터뷰에서 “채권단 주도로 현장 구조조정이 이뤄진다면 태영건설이 힘을 쏟던 주요 현장들까지 정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사와 현장 인력의 감축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성중 기자 kwon88@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권성중 기자
SNS 계정 : 메일 트윗터 페이스북 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