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상호 관세 D-1…관세 펀치 '초읽기'

‘더티 15’에 핀셋 부과될 듯…최대 20% 인상 가능성·한국도 '사정권'
4월 2일 해방의 날? 상호관세 '고비'…"미국 경제 강타할 것"

입력 : 2025-04-01 오전 6:00:00
[뉴욕=뉴스토마토 김하늬 통신원] 미국이 전 세계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던 시점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결전의 날을 앞두고 관세 정책을 더욱 강경하게 밀어붙일 것을 고위 참모들에게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전 세계 반발에도 '통상 전쟁'을 지속할 계획임을 분명히 밝힌 만큼, 관세 사정권에 든 각국은 초긴장 상태에 빠졌습니다. 미국 정부는 상호 관세 부과 대상국을 아직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무역적자 규모 8위인 한국 또한 '관세 리스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 무역전쟁을 피해 가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월 30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앤드류스 합동 기지에 도착한 후 에어포스원 계단을 내려오며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AP 연합뉴스)
 
"트럼프가 결정할 것"…"최대 20% 글로벌 관세 부과 고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오는 4월 2일 발표할 예정인 상호관세에 대해 "일부 국가가 아닌 모든 국가에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으로 복귀하는 미국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이번 주에 발표할 상호 관세에는 무역 불균형이 가장 큰 10~15개국의 소규모 그룹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가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백악관 경제 고문 케빈 해셋은 앞서 <폭스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행정부의 관세 초점이 무역 불균형이 가장 심각한 10~15개국에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국가는 나열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최근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언급한 바 있는 이른바 '문제적 15(Dirty 15)' 국가에 집중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트럼프는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참모들에게 더 공격적인 지시를 했는데요. <워싱턴포스트>는 "각국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책정할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두고 고위 참모들에게 더 공세적인 관세 정책 입안을 주문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같은 지시에 따라 참모들은 상호관세 발표 때 부과할 수입품의 정확한 범위에 대해 숙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신문은 상호 관세 부과의 '범위'와 관련해 가장 가능성 큰 옵션으로 '더티 15'를 꼽았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 또한 '더 넓고 높은 관세 부과'와 '전체적으로 최대 20% 인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신문은 "최근 고문들은 거의 모든 미국 무역 파트너에게 타격을 줄 수 있는 최대 20%의 글로벌 관세 부과를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더티 15'는 미국을 상대로 무역흑자를 크게 보는 15%의 무역 상대국을 의미하는데요. 이들 국가에 어떤 나라가 포함되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미국의 무역적자 규모 8위인 한국도 포함될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그간 "한국의 평균 관세는 미국보다 4배나 높다”고 주장하는 등 한국을 콕 찍어 거론한 바 있기 때문입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사실상 대미 관세는 0%이지만 계속해서 비관세 장벽 등을 문제 삼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미국인 과반 "트럼프, 관세에 지나치게 집중"…언론도 "불확실성 가중"
 
상호 관세 발표가 임박해지면서 미국 내에서도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미국 국민 절반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문제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난 건데요. 상당수의 미국 국민은 관세로 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봤으며 트럼프 정부에서 경제 상황이 더 나을 것이라는 국민의 기대치도 1월 출범 때에 비해서 크게 낮아졌습니다.
 
이날 <CBS>는 지난 27~28일 2609명의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전체 응답자의 55%는 트럼프 대통령에 관세 문제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관세에 충분히 집중하고 있지 않다는 답변은 7%에 그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가정 경제를 개선할 것이라는 답변은 23%에 그쳤고, 42%는 '더 악화시킬 것'으로 봤습니다. 이는 1월과 정반대의 결과로, 당시에는 개선 전망이 42%, 악화 전망이 28%를 각각 기록했습니다.
  
트럼프는 4월 2일을 미국의 '해방의 날'로 선포해 왔는데요. 트럼프는 자동차 관세를 발표한 날을 '해방의 날의 시작'이라고 불렀습니다. 이에 대해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는 이미 시행한 다른 관세들이 공급망을 혼란스럽게 하고 일부 비용을 증가시키기 시작했는데, 이는 더 많은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릴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며 비판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의 '해방의 날'이 미국 경제를 강타할 예정"이라며 "새로운 관세는 성장에 타격을 주고 물가를 상승시키며, 불평등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다른 국가의 관세율, 세금 정책, 통화 관리 등 여러 조치에 대해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제안했지만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설명입니다. <이코노미스트>는 "관세를 맞추려면 미국 세관 직원들이 제품과 국가에 따라 약 260만 개의 별도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며 "다른 조치가 방정식에 포함되면 재량권의 범위는 더욱 커져 이 모든 것은 엄청난 양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킨다"고 덧붙였습니다.
 
뉴욕=김하늬 통신원 hani4879@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하늬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