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범종 기자] 그라비티의 모바일 3D MMORPG '라그나로크 : 백 투 글로리(Back to Glory)'가 이달 17일 국내 출시됩니다. 그라비티는 방치형 게임의 이점과 국가별 서버 구분 없는 거래 체계를 합쳤다며 흥행에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라그나로크 : 백 투 글로리(Back to Glory)' 국내 출시 미디어 간담회가 3일 여의도 KFI 타워에서 열렸다. 사진 왼쪽부터 정주희 사업 PM, 정기동 사업 PM, 신지환 운영 담당. (사진=그라비티)
피로도 줄이기에 방점
정기동 그라비티 사업 PM은 3일 여의도 KFI 타워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미 많이 소비된 라그나로크 시리즈와 어떻게 하면 좀 더 차별화할 수 있을지 많이 고민했다"며 "완전히 새로운 라그나로크 경험을 드리기 위해 많이 노력했다"고 말했습니다.
제목에 대해서는 "여러 모험가님과 함께했던 과거의 추억과 현재까지 진행 중인 영광스러운 모험을 다시 한번 재현하자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백 투 글로리는 해외에서 '라그나로크 : 리버스'라는 제목으로 이미 서비스 중인 게임의 국내판 제목이기도 합니다. 정 PM은 이번에 출시되는 국내 판의 특징에 대해 "한국 유저의 성향에 맞춰 사용감과 조작성을 더 편리하게 개선했다"며 "콘텐츠 및 이벤트에 대한 UX도 최적화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라비티는 백 투 글로리의 강점으로 △IP(지식재산권) 최초 방치형에 최적화된 가로세로 전환 체계 △자동 탐색 기능 △통합 국제 거래소 운영 등을 내세웠습니다.
그라비티는 신작에서 피로도 줄이기에 중점을 뒀습니다. 우선 시리즈 최초로 버튼을 눌러 가로·세로 화면 전환이 가능합니다. 출근할 땐 세로형으로 가볍게 즐기고, 퇴근 후엔 모바일 게임을 PC에서 구동할 수 있는 앱으로 이어 할 수 있습니다. 백 투 글로리 전용 PC판은 개발 중입니다.
경험치를 자동으로 얻는 방치형 체계도 도입했습니다. 시리즈 처음으로 도입된 자동 탐색은 로그아웃 상태로 최대 48시간 치 경험치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기능입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 보상이 줄어들기 때문에, 최소 여덟 시간마다 접속해야 최대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주희 사업 PM, 정기동 사업 PM, 신지환 운영 담당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이범종 기자)
거래소 통해 아이템 가치 부여
가장 큰 장점은 시리즈 최초 국제 거래소를 만들었다는 건데요. 이 게임은 동남아·대만·홍콩·마카오 게이머 간 거래가 가능합니다.
정 PM은 "유료 과금 패키지를 통한 장비 구매가 아닌, 자유 거래를 토대로 자신의 지식과 전략을 통해 거래소에서 자원과 재화를 획득해야 한다"며 "전반적인 경제 체제는 거래소와 경매장을 기반으로 진행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런 자율 경쟁 모델은 모든 물품에 각각의 가치를 부여하며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거래 가격을 결정해야 한다"며 "작업장이나 비정상 이용자에 대해서는 게임 내 경제 균형을 위해 탑재된 수요 공급 조절 체제로 365일 관리되고 있으며, 비정상 로그가 확인되면 즉각적인 제재와 조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라비티는 대량 생산되는 아이템이 있거나 거래 물량 조정 폭이 클 경우, 무작위 임무 빈도를 늘리거나 줄이는 식으로 대응합니다.
이처럼 게이머 간 자유 거래를 통한 경제 체제 선순환 구조가 핵심이기 때문에, 그라비티는 과도한 과금 패키지를 판매하지 않을 방침입니다. 핵심 수익 모델은 기본 유료 다이아와 정기 회원권, 패스권입니다. 정기 회원권을 사면 기본 편의 기능과 한정 칭호 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패스권은 목표 달성의 즐거움과 보상을 함께 얻는 식으로 준비됩니다.
정 PM은 "모험가님들의 니즈가 있는 즐겁고 효율 있는 이벤트로 '라그나로크 : 백 투 글로리'에서의 모험이 스트레스가 아닌 게임 본연의 즐거움이 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범종 기자 smil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