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석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이 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제1차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민주당이 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가닥을 잡고 경선룰 논의 마무리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의 핵심 관계자는 11일 <뉴스토마토>와의 통화에서 "결국 기존대로 국민선거인단 방식으로 하느냐, 아니면 당원 50%, 여론조사 50%로 하느냐"라며 "현재로선 당원 50%, 여론조사 50%로 가는 방향"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대선 경선 때 적용했던 국민선거인단 방식 대신 국민참여경선으로 경선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국민선거인단 방식은 대의원·권리당원은 선거인단에 자동으로 포함하면서 참여 의사를 밝힌 일반 국민에 투표권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지난 대선과 2017년 대선 본경선 때는 국민선거인단 방식이 채택됐습니다.
이춘석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오후 김윤덕 사무총장과 만나 위원회 내부에서 의견을 조율한 방안을 갖고 논의한 뒤 오는 12일 당원토론회와 의원총회를 거쳐 최종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최종안은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됩니다.
다만 김동연 경기지사를 포함한 비명(비이재명)계 대선주자들은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일반 국민 100%) 도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향후 경선룰 확정 뒤 추가 반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