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지난 1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둔 가운데 미국 백악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무역 참모들이 이번 주 각국의 관세율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30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번 주 중 무역 담당 참모들과 만나 각국에 부과할 상호관세율을 논의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선의로 협상하려 하지 않는다면 많은 나라들에 대해 관세율을 결정할 것"이라며 "이번 주에 그 일을 하기 위해 무역팀과 만난다"고 전했습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국가별 관세율 논의와 관련해 "세금 법안이 통과되자마자 오벌 오피스(대통령 집무실)에서 마라톤 회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우리는 대통령과 (무역 상대국을) 하나씩 검토할 것이고, 최종 결정을 내려 관세율을 설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현재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인 일본에 상호관세와 관련한 서한을 보내겠다고 예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대해 다른 나라들이 얼마나 버릇없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예를 들겠다"며 일본이 미국산 쌀을 수입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에 서한을 보낼 것"이라며 "미국과 일본이 앞으로도 오랫동안 무역 상대국으로 함께하길 바란다"고 했습니다.
일본이 쌀 시장의 문호를 닫고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고 판단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율을 포함한 교역 조건을 일방적으로 통보하겠다고 경고하며 압박에 나선 것으로 해석됩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