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불법 초소형 기지국으로
KT(030200) 고객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가입자식별정보(IMSI)까지 유출된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KT 개인 정보 유출은 없었다고 단언했지만, 사태가 확대되는 모양새입니다. 이재명 대통령도 KT 사태를 지목하며 "일부에서 사건 은폐 및 축소 의혹도 제기되는데 이 또한 분명히 밝혀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사태가 악화되면서 김영섭 KT 대표는 공개 사과에 나섰는데요. 국회는 KT 사태를 보안 참사라고 비난하며 청문회 일정을 조율하기로 했습니다.
11일 오후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전체회의에서 이정현 민주당 의원은 "KT를 대상으로 한 청문회의 조속한 실시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같은당 노종면 의원도 "(KT 사태) 청문회로 확장해야 한다"고 보탰습니다. 이에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국정감사 일정도 있기에 간사 간 협의해 결정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KT의 무단 소액결제 사태는 지난 1일 경찰에서 KT에 해킹 상황을 전달하며 수면 위로 드러났습니다. 다만 당시 KT는 해킹이 아닌 스미싱으로 판단해 피해를 키웠는데요. 지난 5일이 돼서야 비정상 결제 패턴을 차단했습니다. 사태를 인지한 이후 지난 8일 오후 7시16분 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 사고를 신고했습니다.
지난 10일 KT는 무단 소액결제로 총 278건, 1억7000여만원의 금전적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는데요. IMSI나 유심 유출에 대해서는 전혀 없는 상황으로 알고 있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정보 유출은 없다고 밝힌 지 하루만에 KT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개인정보 침해 정황이 있다고 신고했습니다. 자체 조사 결과 고객의 개인정보인 IMSI값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는 고객이 5561명이라고도 했습니다. 김영섭 대표는 "현재까지의 상황을 철저히 점검, 반성하고 국민과 고객 여러분이 안심할 수 있도록 통신사의 의무와 역할을 다하겠다. 다시 한번 깊은 사과를 드린다"고 고개를 숙였습니다.
국회는 이번 KT 사태를 보안 참사로 규정했습니다. 황정아 민주당 의원은 "삼중 사중 보안을 갖췄다고 자랑하더니 구멍이 뚫려 있었고, KT는 사건은 은폐하려다 늑장신고도 했다"며 "보안 참사"라고 말했습니다. 이훈기 민주당 의원은 "국민 혈세로 만든 인프라를 활용해 영업이익을 내면서 보안에는 무방비한 모습"이라고 질타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근본적 원인을 밝히는 데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아울러 KT에 피해를 본 이용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 등 배상 의무도 주문한다는 계획입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김영섭 대표와 이날 면담을 진행했고, 국민의 피해 금액뿐 아니라 위약금 면제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