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KT(030200)가 무단 소액결제 사태를 축소하기 위해 서버를 폐기했다는 의혹에 대해 김영섭 KT 대표가 서버는 연중 수천대 폐기가 진행되는 사안이며, 결정권자는 팀장 선에서 이뤄진다며 책임을 회피했습니다. 윗선과 무관하다는 점을 내세운 셈입니다.
아울러 사태 초기 사건을 축소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스미싱 사고로 인지한 영향이라고 답변했습니다. 고의적 은폐가 아닌 문제 요인을 제대로 살피지 못한 경영적 판단 미스를 인정했습니다.
김영섭 대표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열린 대규모 해킹 사고 관련 청문회에서 서버 폐기 결제 라인을 묻는 이주희 민주당 의원 질의에 "1년에 4000대 정도 서버 폐기가 진행된다"며 "서버 폐기는 규모와 내용에 따라 다르겠지만 팀장 수준에서 결정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주희 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KT가 지난 7월19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로부터 유출 정황 공유 및 보안 점검에 대해 안내를 받았지만, KT가 자체 조사 후 7월21일과 22일 KISA에 침해 사실 미확인으로 회신했습니다. 이후 8월8일 미국 프랙 보고서에서 유출 사고 의혹이 불거졌는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A는 자료 제출을 요청했는데 KT는 13일 조사 결과를 발송하면서 서비스 종료와 폐기를 적시했습니다. KT는 유출 정황은 확인하지 못했지만 정보보안실 요청에 따라 보안 우려를 감안해 서버의 조기 종료를 결정했고, 미사용 서버 폐기 절차에 따라 13일 서버를 폐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주희 의원은 "서버 폐기 과정을 보면 증거인멸을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영섭 KT 대표(가운데)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대규모 해킹 관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사진=뉴스토마토)
김영섭 대표는 무단 소액결제 사태 축소·은폐 의혹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습니다.
황정아 민주당 의원은 "경찰로부터 지난 1일 최초 통보를 받고도 KT는 언론 보도가 나오는 5일까지 아무 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내부 자료에는 9월4일 이상 징후를 발견했음에도 KISA에 사전 이상 징후 없었다고 허위 보고했다"고 질타했습니다.
이에 대해 김영섭 대표는 "초기에는 해킹이 아닌 스미싱 현상으로 파악하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고의적 은폐가 아닌 문제 요인을 제대로 살피지 못한 경영적 판단 미스라는 의미입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