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한승기자] 공공기관의 장애인 웹접근성은 어려움이 없는 수준인 반면 민간부문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가 공공기관과 민간 등 709개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지난해 정보접근성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장애인 웹접근성이 공공기관과 민간부문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웹사이트 접근성 수준은 90점을 넘어 '우수'를 받았으며, 전자정부와 공사·공단, 문화예술, 교육기관은 80점대로 '보통', 의료시설과 지방공사, 복지시설은 70점대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민간분야는 66.6점으로 미흡한 성적을 냈다.
모바일 앱 접근성 수준은 중앙행정기관이 73.4점, 지자체가 70점, 공사·공단이 69점, 민간분야가 64.5점의 성적을 받았다.
미래부는 장애인의 모바일 정보접근 수요에 부응하는 앱 접근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난 11일을 기점으로 모든 법인의 웹접근성 준수 의무화에 따라 실태조사 결과를 해당 기관에 통보해 미흡한 부분에 대해 개선하도록 하고, 장애인 정보접근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국가정보화기본법에 웹접근성 품질인증제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 다수 인증기관의 웹접근성 인증제도 운영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고 웹사이트의 정보접근성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또 '웹접근성 지킴이'를 양성 운영하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및 소규모 비영리기관의 웹접근성 개선을 지원하며, 민간·공공기관 등의 웹접근성 관계자를 대상으로 순회교육 및 방문교육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모바일 정보접근성 강화 및 인식제고를 위해 자체진단평가도구를 개발하고 모바일 앱 정보접근성 컨설팅도 실시한다.
한편, 정보접근성 실태조사는 지난 2005년부터 매년 실시했으며, 이번 조사는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을 적용해 대표 웹사이트 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의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앱을 대상에 포함해 조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