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필현기자] 최근 4년간 시중에 유통된 부적합 의약품이 총 1623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미회수된 물량은 총 1579만개로, 회수율은 고작 2.7%에 불과했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의진(사진) 새누리당 의원이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유통된 부적합 의약품 현황(2010~2013.7)’ 자료에 따르면, 주성분 함량미달, 미신고된 성분 함유 등 불량 의약품으로 판정을 받은 제품은 총 28건이었다.
이들 제품의 유통량은 총 1623만개에 달했으나, 미회수된 제품은 1579만개로 미회수율은 97.3%였다. 그마저 1건의 불량 의약품에 대해서는 유통량 회수율조자 파악되지 않았다.
식약처는 회수량이 극히 부진한 이유에 대해 의약품 특성상 대부분 1년6개월 이내에 모두 소진되는 등 회수 전 소비량이 많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결국 불량 의약품 대부분을 소비자가 사용했다는 얘기다.
신 의원은 “2009년 탈크 파동 이후 부적합 의약품 회수를 위해 RFID(전자라벨)를 도입해 회수율을 높이겠다고 공언했지만 4년이 지난 현재 의약품 이력관리는 도매상까지만 가능할 뿐, 약국 등 소매상 이력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