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수연기자] 정부가 잇달아 대책을 내놓으며 증권사 인수합병(M&A) 활성화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정작 증권업계 시각은 다소 회의적이다.
실제 업계는 정부의 증권사 M&A 대책이 단순 유인책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며, 실제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책 수혜를 입는 대상범위가 제한적일 뿐더러, 과징적 제한조치가 오히려 중소형사들의 영업력을 위축시킬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실적 악화 등 시장침체에 몸살을 앓고 있는 증권업의 먹구름이 어느정도 걷혀야 M&A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 M&A '당근과 채찍' 제시..업계 "두고봐야"
지난 15일 금융위원회는 중대형사의 경우 IB지정 요건을 완화함으로써 대형 IB로서의 도약을 돕고, 중소형사는 신탁업무와 해지펀드 운용 등 먹거리 사업을 허용함으로써 수익원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증권업 M&A 활성화 정책을 발표했다.
궁극적으로는 M&A를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로, 정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증권회사 인수합병 촉진방안'을 이르면 내년 2분기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의 이같은 방안에 대해 업계는 기본적으로는 반기는 분위기다. 이인형 자본시장연구원 실장은 "기본적으로 '활성화'에 방점을 찍고 가는 것은 좋은 방향"이라며 "조건 완화 뿐 아니라 신탁업무 등 먹거리 창출 업무를 허용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그 효과는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고은 아이엠투자증권 연구원도 "새로운 수익원이 절실한 상황이고 제공되는 인센티브가 최근 성장 동력으로 집중되고 있는 자산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며 "현재 증권업의 밸류에이션이 낮아 저렴한 비용으로 인수할 수 있어, 지금이 자산관리 부분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적기"라고 판단했다.
다만 그 수혜가 일부 증권사에게만 해당돼 전체적으로는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김 연구원은 "이미 대형 IB로 지정된 증권사들의 경우 관련 부분이 전체 수익에 기여하는 바가 크지 않고 이미 증자로 인해 낮은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보이고 있어 대형IB 지정을 위한 인수 합병이 적극적으로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도 "IB 요건을 완화하는 조건이 적용되는 영업권 가치가 크지 않고 일부 증권사에만 해당된다"며 "부실기업에 주는 인센티브도 적어 구조개편 요인으로 작용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인센티브 실효성에 대한 판단도 제고해야 된다는 평가다. 강승건 대신증권 연구원은 "인수자에게 부여하는 인센티브는 존재하지만 피인수자에게는 규제 강화만 있고 인센티브는 없다"며 "거래는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이 합의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이번 대책 결과를 낙관할 수만은 없다"고 판단했다.
부실증권사에 대한 적기시정조치 강화가 오히려 중소형사들의 입지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중소형 증권사들은 사실 영업을 위주로 수익을 내고 있는데, 레버리지 비율 900% 이상을 제재하는 등의 조치는 오히려 업황을 악화시키는 등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진단했다.
◇공급 넘치지만 수요없어..업황부진까지 '이중고'
정책의 성격과는 별개로 업황부진 자체가 M&A 시장 활성화의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에 물건은 많이 나왔지만, 업황 전반이 침체된 상황에서 수요가 생기기 어려워 정부대책이 효과를 낼 수 없을 것이란 주장이다.
현재 시장에는 리딩투자증권, 아이엠투자증권, 이트레이드증권 등 10여개의 증권사가 매물로 나와있다. 내년 대우증권과 현대증권까지 매물로 나올 경우 국내 62여개 증권사 중에 20% 가량이 매물이 되는 상황이 된다.
이처럼 수요에 비해 공급이 과도하다보니 매물가치 하락이 계속되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경쟁매물 상대가 늘어나면서 대형사들은 가치가 하락하고, 반면 밸류에이션 가치가 떨어지는 중소형사는 갈수록 시장에서 외면받게 될 것이란 얘기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대형사는 매물이 많을수록 인수자 입장에서 나눠먹기 꼴이 되니 가치가 떨어지고, 부진한 실적을 보이고 있는 중소형사들은 막상 인수자가 없어 무기한 보류상태로 남아있는 찬밥신세를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증권업황은 역대 최악이라 부를만하다. 올 상반기(4~9월) 대부분 증권사들의 실적이 급감했고 현대증권과 대신증권 등 일부 증권사는 적자로 돌아섰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소형 증권사들은 아예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희망퇴직, 정리해고 등 증권사들의 강도높은 구조조정도 진행중이다.
이동섭 SK증권 기업분석팀장은 "수수료 수입이 줄어들고, 각종 운영 수익이 줄어들면서 증권업 전반이 침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기업들은 더 소극적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증권사들의 인수합병전이 쉬워보이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철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증권업이 당면한 문제를 풀려면 자본시장 관련 조치들이 구체성을 높여가야 한다"며 "당장 구체적인 M&A 움직임을 기대하기보다는 내년 중 발표될 추가 조치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M&A 시장이 철저히 인수자와 매각자의 장(場)인만큼 업황과 당국 정책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이종우 아이엠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물건이 많으면 가격이 떨어질 수 밖에 없지만 값이 떨어져도 상대방이 원한다면 거래가 성사된다"며 "M&A영역은 증권의 업황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 센터장은 "당국이 나선다고 해서 인수합병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정부 정책의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