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류석기자] 지난 5월 온라인상거래에서 30만원 이상 결재 시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이 폐지되면서 관련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공인인증서 발급기관 외에도 다른기업들이 공인인증서 대체수단 마련에 나서면서 발급기관들의 공인인증서 부문 매출 축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공인인증서 발급 수수료 및 관련 수익이 회사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발급기관들과 관련업계의 경우 새로운 매출 확대 수단을 강구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공인인증서.(사진제공=한국정보인증)
3일 업계에 따르면 공인인증서 의무사용이 폐지되면서 해당업체들이 새로운 '캐시카우'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인증 수단을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 뿐 아니라 사물인터넷 관련 인증 기술 개발, 해외 공인인증체계 구축, 사업 다각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공인인증서는 용도에 따라 '범용 공인인증서'와 '일반 공인인증서'로 나뉘어져 있다. 일반 공인인증서는 은행, 카드, 보험, 전자결제 등에 사용되는 인증서다. 흔히 우리가 30만원 이상 전자결제시 사용되는 인증서는 일반 공인인증서에 해당한다.
범용 공인인증서의 경우 사용범위가 제한돼 있지 않아 인증서가 필요한 모든 거래에서 사용 가능하다. 기업고객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 범용 공인인증서의 경우에는 발급시 개인은 4000원, 사업자는 10만원 정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매년 갱신 비용으로 같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현재는 공인인증서를 대체 할만한 인증 수단이 나오지 않아 아직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인증 수단을 들고 여러 업체들이 시장에 들어오게 되면 관련 시장은 요동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한국정보인증(053300),
한국전자인증(041460) 등과 같은 공인인증서 발급기관들은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며, 새로운 매출 확대 수단 발굴에 나서고 있다. 발급기관들의 경우 공인인증서 관련 사업으로 벌어들이는 수입이 회사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정보인증은 지난해 매출 289억원 중 215억원이 공인인증서 관련 매출이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4%에 달한다. 여기에 관련 솔루션 매출까지 더해지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90%에 육박한다.
이 때문에 한국정보인증은 예상되는 공인인증서 관련 매출 감소분을 상쇄함과 동시에 회사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인증기관으로서의 경험을 살려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인증 수단 마련에도 적극적이다.
또 한국정보인증은 사물인터넷 보안기술 개발과 해외 국가 공인인증체계 구축사업에도 집중하는 모양세다. 회사는 2007년 파나마를 시작으로 해외 국가 공인인증체계 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아프리카 케냐와 르완다에 국가 공인인증체계 구축 사업을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올해 6월에는 케냐에 우리나라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같은 국가PKI센터를 개소하기도 했다.
한국전자인증도 지난해 공인인증서 관련 사업에서 나온 매출이 회사 전체 매출의 55%에 해당했다. 이에 따라 한국전자인증도 개인 이메일 인증서, 웹서버 인증서, 기업인증 솔루션 등과 같은 글로벌인증 서비스에 더욱 집중하게 될 것으로 관측된다.
공인인증서 관련 솔루션 전문업체인
소프트포럼(054920)도 공인인증서 의무사용 폐지로 인해 매출감소가 예상된다. 공인인증서 발급기관을 위한 솔루션인 ‘XecurePKI’가 회사 매출의 25%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회사는 시큐어코딩 솔루션을 새로운 먹거리로 삼고 시장에 적극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다. 공인인증서 관련 사업에서 나오는 매출이 줄어들 것을 예상하고, 새로운 솔루션으로 회사의 매출 확대를 노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만한 보안성을 가진 대체 수단이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대통령 말 한마디로 급하게 공인인증서의 의무사용이 폐지되면서 관련업계에도 비상이 걸린 상황”이라며 “하지만 기존 공인인증서 발급 기관들은 인증서와 관련된 서비스에 많은 경흠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공인인증서 외에도 다른 인증 수단의 개발을 통해 상황을 잘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