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미연기자] 제1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자문회의)가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17일 개최됐다. 이날 회의에선 바이오 미래전략과 기후변화 대응전략 등 5개 핵심 안건이 다뤄졌다.
이번 자문회의에는 자문위원과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 등 관계부처 장관을 비롯해 경제계, 바이오·기후변화 관련 협회 및 산업계, 출연연 등 각계 인사 140여명이 참석했다.
5개 주요 안건은 ▲성장과 복지를 위한 바이오 미래전략 ▲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혁방안 ▲기후변화 대응 핵심기술 개발전략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신산업 창출방안 ▲제로에너지빌딩 조기 활성화 방안 등이다.
◇바이오, 성장·복지 한 번에.."바이오 7대 강국 도약해야"
자문회의는 "PC 가격 1000달러 시대로 ICT 혁명이 일어났다면 게놈분석 1000달러 시대인 향후 20년은 바이오혁명이 예고되고 있다"며 "바이오는 '성장'과 '복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유망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바이오산업의 세계 시장규모는 지난해 330조원에서 2020년 635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특히 보건의료 부문은 지난해 기준 221조원 규모로 세계 바이오시장의 67.1%를 차지하고 있다. 바이오와 보건의료가 융합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약 7.6%의 성장세가 예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SCI(국제과학논문색인) 논문 게재 건수 증가, 개발 신약 해외진출 다변화, 신약 후보물질 임상시험 급증 등에 비춰 정부의 R&D 투자가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그간 연구성과의 사업화 연계 부족, 민간기업 투자저조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노정혜 서울대 교수(자문위원)는 '성장과 복지를 위한 바이오 미래전략' 보고에서 "현재 보유한 역량과 기회를 토대로 2020년 바이오 7대 강국으로 도약해야 한다"며 2대 전략과 6개 세부 과제를 제안했다.
우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에선 ▲바이오시밀러·베터 등 틈새시장 선점 ▲줄기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혁신시장 육성 ▲융합의료기기·진단제품 등 ICT융합 신시장 개척 등 3가지 방안이 제시됐다.
바이오시밀러·베터의 경우 국내 생산 역량이 충분한 만큼 빠른 추격자 전략을 통해 오는 2016년엔 세계 최대생산국으로 도약하자는 것. 나아가 2020년 전세계 줄기세포 치료시장의 10% 이상 점유, 신시장을 창출해 15조원의 수출 규모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이 포함됐다.
이어 '사업화 연계 기반 확충'을 위한 전략으로는 ▲치매·당뇨 치료제 등 민간주도 R&D 촉진 ▲중개연구 활성화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범부처 바이오 빅데이터 통합관리 체계를 정비해 유전정보 분석서비스와 맞춤의료, U-헬스케어 등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문회의는 이같은 국가전략을 실효성있게 추진하기 위해 부처 및 분야를 초월한 종합조정기구 설립을 제안했다.
이어 곽노성 식품안전정보원장(자문위원)은 '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혁방안'을 보고하며 ▲신의료기술 평가제도 개선 ▲유전자치료제 개발 대상질환 확대 ▲의료기기 복합·중복규제 개선 ▲연구자주도 임상제도 개선 등 4개의 선도 개선과제를 제안했다.
(자료=미래창조과학부)
◇기후변화, 위기이자 기회.."기술 개발로 시장 선점해야"
이어진 기후변화 대응전략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와 산업통상자원부(산자부), 국토교통부(국토부) 등 관계 부처 대표들의 안건보고가 진행됐다.
미래부는 '기후변화 대응 핵심기술 개발전략'을 보고하며 "기후변화는 전세계가 당면한 문제지만 동시에 기회가 될 수 있는 '블루오션'"이라고 역설했다.
우리나라는 화석연료 의존도가 85.2%에 달하는데다 오는 2020년부터는 온실가스를 배출 전망치(BAU) 대비 30% 감축하도록 의무화돼 기술개발을 통한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로 인해 기후변화 대응 시장은 연평균 67% 이상의 고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미래부 측은 ▲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2차전지 ▲전력 IT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처리) 등을 6대 핵심기술 개발 전략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우선 청정 신재생 에너지 활용을 가속화하기 위해 태양전지의 제조원가를 2020년까지 절반 이하로 낮추고, 연료전지와 바이오에너지의 발전효율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또 ICT를 활용해 에너지 생산·소비를 효율화하며, CCS 시장 및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해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한편 산업부는 창조적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민간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네가와트 발전 등 7개 에너지 신사업 모델과 자생적 시장 조성을 위한 정책과제를 보고했으며, 국토부는 추가 공사비 부담 없이 '제로에너지 빌딩'을 건축할 수 있도록 시장 선도형 사업모델을 제시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글로벌 미래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규제개혁과 기술사업화, 신기술·신산업 창출 전략을 통해 창조경제를 견인해야 한다"며 "바이오 및 기후변화 대응전략 등 보고된 사항들에 대해 관련 부처들이 긴밀히 협력해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