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원석기자] 남극 세종기지 대원들은 26년 간 피부상처와 연좌 같은 외상 진료를 가장 많이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고려대 의과대학)
이민규 고려대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교수(
사진)는 '세종기지 26년의 의료소비 양상: 1988년~2013년 의무기록 및 의료소비자 분석'을 10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세종기지의 26년의 월동 자료 중 확보할 수 있는 19년의 의무기록을 전산화해 4049건의 내원기록을 정리한 것이다.
세종기지 대원들이 병원을 찾는 주요한 원인은 피부상처와 염좌 같은 외상에 의한 것이 2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소화불량과 복통과 같은 소화기 증상이 19%, 습진과 피부염증과 같은 피부 증상이 15%, 근육통과 관절염 같은 근골격계 증상이 14% 순이었다.
의료적인 이유로 칠레로 또는 국내로 후송된 사례는 총 12건이었고, 이중에 10건이 외상으로 인한 정형외과적, 안과적, 치과적 문제로 출남극 의료후송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을 오는 11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문숙의학관 1층 원형강의실에서 개최되는 제1회 대한극지의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이민구 교수는 "제1회 대한극지의학회 학술대회를 통해 한국 극지의학의 과거와 현재를 짚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이라며 "극지의학 및 연관 연구란 주제로 패널 토론도 있을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