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재난망 관건은 '망 생존성'.."트리플 네트워크+α로 대응한다"

입력 : 2015-04-16 오전 11:00:00
[뉴스토마토 김미연기자] KT(030200)가 국가재난망 구축의 핵심 역량으로 '망 생존성'을 강조했다. 광케이블, 마이크로웨이브, 위성 통신망을 활용한 '트리플 기가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주파수 확정시 TVWS(TV White Space) 대역도 +α의 백업망 역할을 해줄 것으로 내다봤다.
 
송희경 KT 공공고객본부장은 지난 15일 열린 'KT 재난안전 ICT 기술 및 서비스 설명회'에서 "지난 1년간 재난망 기술방식 선정, 주파수 배정, 정보화전략계획(ISP) 등 많은 과정들이 진행됐다"며 "앞으로 재난망을 구축함에 있어 중요한 3가지는 ▲망의 생존성 ▲표준화 ▲글로벌 세일즈"라고 설명했다.
 
송 본부장은 "특히 망 생존성의 경우 극단적인 재난상황까지 가정해야 한다"며 "어떤 지역이 다 무너져 마지막까지 구호요원이 남아서 국민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면 백업망이 살아 있어야 하고, KT는 국내 유일하게 트리플 네트워크의 백업망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KT는 지난 3월 재난 및 안보 위험에 노출돼 있는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 '트리플 기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도 했다. 기존 광케이블이 끊어지면 기가 마이크로웨이브가 백업하고, 이마저도 철탑붕괴나 전파간섭 등으로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위성 통신망이 3중으로 백업해 중단없는 LTE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 위성백홀 연동 솔루션인 '펨토셀'을 이용하면 광케이블이 끊어져도 위성 안테나와 연결해 기지국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서·산간, 백사장, 남극 등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지역의 망이 무너졌을 때 긴급 복구가 가능하다.
 
아울러 TVWS(TV White Space)는 470~698MHz 주파수 대역 중 방송사업자가 사용하지 않는 빈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다. 저주파로 주파수가 멀리까지 도달하는 특성이 있어, 표준화되고 칩셋이 구현되면 기지국이 닿지 않는 곳에서도 백본 역할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박상훈 KT 무선액세스망기술지원담당 상무는 "TVWS는 주파수 대역이 확정되면 트리플 네트워크가 안되는 상황에서 플러스 알파의 백업 역할을 해줄 것"이라며 "시범사업을 하게 되면 평창에도 적용해 성능을 시험할 것"이라고 말했다.
 
◇펨토셀과 TVWS를 활용한 백홀 네트워크(사진=김미연 기자)
 
KT는 이날 ▲700MHz를 이용한 PTT ▲eMBMS ▲D2D 등 재난재해시 이용될 기술 및 서비스 시연도 진행했다.
 
주파수 700MHz 대역을 이용한 PTT(Push-to-Talk) 단말기는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싣는 형태와 함께 악천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무전기 형태 두 가지로 개발됐다. PTT 서비스는 재난재해시 일원화된 명령체계를 구축하도록 하는 만큼 PS-LTE(Public Safety-LTE) 재난망 설계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꼽힌다.
 
eMBMS(동시 동영상 전송,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는 재난 현장의 영상을 재난 요원이나 국민의 LTE 단말로 생생하게 전송해 원활한 구조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데이터 전송시 LTE 주파수 자원을 고정할당해 1:N 멀티캐스트를 제공함으로써 호 폭주가 우려되는 대형 재난지역에서도 다수의 LTE 단말에 고화질의 영상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KT는 삼성전자(005930)와 함께 해당 기술을 세계 최초 상용화했다.
 
기지국이 없어도 단말 간 메시지나 통화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D2D(Device to Device) 서비스는 1:N으로 재난상황을 전파할 수 있어 신속히 위험을 알리고 대처할 수 있게 한다.
 
D2D 기술이 탑재된 스마트폰에서 LTE 주파수를 이용해 반경 500m 내 상대 단말기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계곡 등 GPS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 곳에서도 조난자의 위치를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
 
◇D2D 서비스를 통한 구조작업 시연(사진=김미연 기자)
 
PS-LTE의 글로벌 표준을 제정하는 3GPP는 오는 2016년 3월 릴리즈13 표준화를 완료할 계획이지만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제표준이 되지 않으면 상용화가 되더라도 판로가 막히는 만큼 국내 사업자들은 예정대로 표준화가 완료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재난망 사업은 4~5월 중 시범사업자 공고와 선정이 이뤄질 예정이다. 혼합발주에 따라 1공구(서울, 평창)와 2공구(강릉, 정선)를 맡을 2개 사업자를 선정하는데 본사업 수주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이는 1공구 사업 선점에 경쟁이 집중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KT 관계자는 "두개 공구 입찰에 모두 참여할 것인지는 현재 심도있게 고려하고 있어 확답은 어렵다"며 "시범사업을 맡게 된다면 최소 6~7개월 안에 망 구축을 완료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김미연 기자
김미연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