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윤다혜기자]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14일 프라임사업 서면평가 1단계 결과를 발표한 가운데 학내 반발이 심했던 이화여대, 상명대, 중앙대 등 대학들이 무난히 통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프라임사업 기본계획에는 구성원 간 합의가 배점이 돼 있으나 이들 대학은 구성원간 합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단계 대면평가 대상이 된 것이다. 따라서 이들 대학들이 프라임사업 최종 선정까지 갈 경우 무리한 학과 통폐합으로 인한 학생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프라임사업(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IME)은 사회에서 필요한 산업 수요와 대학이 배출하는 인력의 전공이 불일치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즉, 기업이 원하는 인재 배출을 위해 각 대학이 기존의 인문·사회 계열 및 예체능 계열의 정원을 줄이고 이공계 정원은 늘리는 쪽으로 구조조정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연간 2012억원의 예산을 각 대학에 지원한다.
이에 재정적으로 대부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들은 프라임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무리한 학과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대학들은 구조조정 당사자인 해당 학과 학생, 교수들 동의 없이 진행했다.
1단계를 통과한 이대의 경우 학생들은 최종 사업계획서에 대한 내용도 확인하지 못했으며 총학생회장 서명 없이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상명대 천안캠퍼스의 경우 공청회를 열고 구성원간 합의를 얻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학교측으로부터 협박 아닌 협박으로 타협을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몇몇 교수를 포함학 학교 측은 반발하는 학생들에게 "문제가 생겨 프라임사업을 유치하지 못하면 너희 학생들 책임"이라며 "만약 문제가 생기면 해당 학과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까지 말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학교 측은 "30년 만에 구조조정을 단행한 것이고 프라임사업을 유치하기 위해 대부분의 학교들은 학생들에게 숨기고 진행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우리 학교는 오히려 학생들에게 알렸다. 학생들을 설득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래서 공청회를 무려 3번이나 열었다"며 학생들 동의하에 이뤄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같은 대학들이 프라임 사업에 최종 선정될 경우 무리한 학과 통폐합으로 각 과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취업률을 산정하는 방식에도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학생들의 학습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학생은 "학생들에게는 수업의 자율성과 다양성의 선택의 폭이 줄어들 수 밖에 없으며 선후배의 인프라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과는 그 관계 역시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한 학생은 "일부 대학들이 무작정 공학쪽으로만 정원 늘리기에 힘을 쏟고 있다"며 "청년들의 꿈의 터전이 되는 학과를 대학의 높은 경영평가와 높은 취업률을 위해 없애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앙대의 경우 예술대 정원을 줄이고 공대의 정원을 늘리면서 학교의 경쟁력이 있는 분야를 죽이고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그러나 학내 반발이 심한 대학들은 2단계 대면평가까지 통과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교육부 관계자는 "구성원간 합의가 3점으로 배점 돼 있다"며 "구성원 간 합의가 안됐다면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신문고를 통해 항의가 몇 곳에서 들어온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교육부에 따르면 이번 프라임사업에 70여개 대학들이 신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발표한 서면평가 1단계에서는 최종 선정 대학의 3배수를 2단계 평가대상으로 선발한다. 최종 선정 대학 수는 19개교로 70여개 대학이 신청한 것을 감안하면 1단계 평가에서 15개교 내외가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2단계인 대면평가는 오는 18일부터 22일까지 실시된다. 2단계 대면평가가 끝나면 지원 대상 후보군이 선정된다. 3단계 심의를 거쳐 최종 지원 대학이 가려진다. 최종 지원 대학 선정 결과는 이달 말에 발표된다.
3월9일 오후 서울 성북구 성신여자대학교 앞에서 학생들이 성신여대 비상대책위원회 주최로 열린 일방적 구조조정(학과 통폐합) 반대 침묵 행진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사진/익명의 상명대 재학생 제공
윤다혜 기자 snazzyi@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