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운·조선산업이 사실상 붕괴하면서 희망퇴직과 정리해고 등 인력 구조조정 한파가 거세지고 있다. 올 연말 매서운 구조조정은 절정에 달할 전망이어서 이들을 위한 정부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19일
한진해운(117930) 노동조합에 따르면 전날 한진해운 노사는 구조조정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 이 자리에서 한진해운은 다음달 임직원을 대상으로 정리해고를 공지한 뒤
12월초 근로관계를 종료하겠다는 계획을 노조에 전달했다
.
한진해운은 다음달 임직원을 대상으로 정리해고를 통보한 뒤 12월초 근로관계를 종료하겠다는 계획을 노조에 전달했다. 사진/뉴시스
한진해운은 법원이 매각을 추진 중인 미주~아시아 항로 관련 인력 300명 규모는 인수합병(M&A)을 통해 승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정리해고 직원의 수는 350여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진해운은 내부적으로 정리해고 대상자 선별을 위한 구체적인 안도 세웠다. 우선 한진해운은 근무평가를 비롯해 근속연수 및 상벌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다른 회사에 승계할 직원 300여명을 추리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해운 물류를 책임지며, 수출산업의 역군으로 자부심을 가지고 있던 임직원들은 한 순간 길거리로 내몰리게 된 것이다. 노조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희망퇴직의 경우 일정 위로금을 받을 수 있지만, 정리해고는 위로금이 지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직원들에 대한 처우가 부당하다는 이유다. 당장 한진해운 노조는 직원의 희생만 강요하는 회사의 해고지침에 대해 반발 수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한진해운은 미국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임직원 대상 희망퇴직을 신청받아 130여명을 내보낸 바 있다. 그해 비용절감을 위해 총 140여명 규모의 해외 주재원 인력을 4분의 1가량으로 줄이기도 했다. 한진해운의 기업보고서를 살펴보면 지난 2013년 1935명에 달했던 임직원은 2014년 1661명, 지난해 1464명으로 매년 평균 12%~15%씩 꾸준히 감소했다.
해운뿐 아니라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조선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최근 최길선 부회장이 물러나고 권오갑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하면서 빠르게 사업재편에 나서고 있는 현대중공업은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총 3차례에 걸쳐 희망퇴직을 받고 3000여명이 회사를 떠났다. 특히 사무직의 희망퇴직 비중이 80% 이상으로 높게 차지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감축인원 2만9000명 가운데, 생산직은 500명, 나머지 2400명은 사무직 근로자다.
생산직의 경우 노조라는 든든한 배경이 있기 때문이다. 사무직 위주로 퇴직자가 대거 발생하면서 인력 구조상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현대중공업이 내년 상반기까지 전기전자시스템과 건설장비 사업부문을 분사하기로 검토하면서 이 두 사업부에 속한 근로자 약 4000여명이 회사에서 떠날 전망이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오는 2020년까지 2600여명을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내놔 암울한 분위기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생산직 총 1000명 규모의 희망퇴직을 신청 받고 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은 6월말 현재 1만2700명의 근로자를 연말까지 1만명 이하로 줄이겠다는 방침이다.
최근 잇따른 수주로 한숨을 돌린 삼성중공업은 이미 지난 2분기 1400명의 희망퇴직을 시행한 바 있다. 지난 7월부터는 직급에 따라 임금반납을 시행하면서 인건비 줄이기에 혼신의 힘을 쏟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임원 30%, 부장급 20%, 차과장급 15%(지난 8월부터)의 임금을 회사에 반납하고 있다.
특히 조선 3사는 10월 현재 올해 수주 목표치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면서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23억달러, 대우조선해양 13억달러, 삼성중공업 6억달러를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올해 수주 목표인 현대중공업 131억달러, 대우조선해양 62억달러, 삼성중공업 53억달러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결과다. 문제는 내년 조선 업황이 더욱 어려울 것이라는 점이다. 때문에 당분간 조선·해운사의 임직원 대상 희망퇴직과 정리해고, 순환 무급휴직 등이 이어질 전망이다.
김영택 기자 ykim98@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