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부 최용민 기자.
자동차 산업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정확하게 말하면 자동차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 함은 휘발유와 경유 등 화석 연료를 사용해 운전자가 직접 운전해 이동하는 물체를 일컫는다. 그런데 이런 자동차의 일반적인 개념이 통째로 바뀌고 있다. 화석 연료가 아닌 전기와 수소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친환경차와 운전자가 직접 운전할 필요가 없는 자율주행차 등이 자동차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친환경차 중 전기차는 이미 상용화 단계를 넘어 대중화 단계로 들어서고 있다. 일반도로에서 전기차를 쉽게 목격할 수 있다. 특히 향후 전기차 보급은 각국 정부의 지원책은 물론 내연기관차에 대한 규제 강화로 더욱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향후 몇 년 안에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겠다는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 국회도 2030년부터 친환경차 이외의 자동차 신규 등록을 거부하는 내용의 ‘자동차관리법’이 발의된 상태다. 이 때문에 지금부터 향후 몇 년간은 전기차를 놓고 글로벌 업체 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자율주행차는 일반적인 부품은 물론 각종 센서와 카메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커넥티드 기술까지 필요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자동차 업체만의 화두는 아니다. 이 때문에 자동차 업체는 물론 전자업체와 IT기업까지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회사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IT전문기업인 네이버도 이미 국토부 승인을 얻어 자유주행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자율주행차를 직접 운행하고 있다.
소위 차세대 먹거리인 자율주행차 개발에는 산업군 사이에 벽이 허물어진지 오래다. 특히 누가 자율주행차의 중요 기술을 획득하느냐를 놓고 기업별 무한 경쟁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업계에서는 2020년 이후에는 자율주행차를 실제 도로 위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자율주행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도로 전체의 신호 체계 등도 정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완성차업계가 미래 자동차 산업을 얼마나 잘 준비하고 있는지 돌아볼 시간이다. 먼저 전기차 등 친환경차와 관련해 현대·기아차는 일단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상반기 하이브리드차가 포함된 전체 친환경차 시장에서 일본 토요타에 이어 글로벌 2위를 기록했다. 특히 현대차는 오는 2020년까지 31종의 친환경차를 출시하겠다는 로드맵도 발표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현대차의 친환경차 개발이 아직 상용화 단계까지 시간이 걸리는 수소차에 집중돼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궁극의 친환경차로 평가받고 있는 수소차는 현대차가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 때문에 향후 몇 년간은 친환경차 시장에서 주력 차종이 될 전기차 개발에 소홀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쌍용차도 오는 2019년 출시를 목표로 전기차 개발에 최근에서야 착수 다소 늦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율주행차 개발도 마찬가지다. 현대차는 2020년까지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고 2030년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현대차는 물론 글로벌 업체들도 완전 자율주행차 완성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자율주행차 패권을 어느 기업이 가져갈지 아직 예측하지 못하고 있다. 전통적인 자동차 업체가 아닐 수도 있다. 때문에 업종간 경계를 허물고 합종연횡도 이어지고 있다. 한국도 네이버는 물론 통신사들이 좋은 인프라를 구축하고있다는 점에서 현재까지는 괜찮은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한순간 방심하면 미래차 주도권을 타국에 뺏길 수도 있다. 국내 완성차 업체가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한순간도 방심해서는 안되는 이유다.
산업2부 최용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