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탄소배출 ‘제로’ 목표…모든 경제구조 ‘저탄소화’ 추진

정부, ‘2050 탄소중립’ 전략 발표
온실가스 주 배출원 발전·산업·건물·수송 조기 감축
이차전지·바이오 등 유망 저탄소 산업 생태계 육성
전환 과정 피해 산업·노동자, 사업전환 및 재취업 지원

입력 : 2020-12-07 오전 10:00:00
[뉴스토마토 정성욱 기자]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 ‘0’을 목표로 모든 경제구조를 ‘저탄소화’로 전환하기 위한 청사진을 내놨다. 온실가스의 주 배출원인 발전·산업·건물·수송 분야는 기술개발 및 제도개선으로 조기 감축을 유도하고, 이차전지·바이오 등 새로운 유망 저탄소 산업 생태계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저탄소 전환 과정에서 피해가 발생할 산업·노동자는 사업전환과 재취업을 지원한다.
 
정부는 7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22차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회의를 열고 ‘2050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추진전략을 기존 ‘적응적 감축’에서 ‘능동적 대응’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양 만큼 흡수량을 늘려 실질적인 배출량이 '0'이 되는 상태를 말한다.
 
먼저 정부는 발전·산업·건물·수송 등 경제구조내 모든 영역에서 저탄소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화석연료를 중심으로 이뤄지던 에너지 공급을 신재생에너지 중심 전력 공급체제로 전환을 꾀한다. 재생에너지용 송배전 전력망을 확충하고,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을 확대한다. 최고효율태양전지, 건물일체형 태양광 등 기술확보를 통해 재생에너지·수소·에너지 IT 등 3대 에너지신산업을 육성한다.
 
정부는 7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22차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회의를 열고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 ‘0’을 목표로 모든 경제구조를 ‘저탄소화’로 전환하기 위한 ‘2050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했다. 탄소가스를 배출중인 제철소의 모습. 사진/뉴시스
 
석유·석탄 배출이 많은 기존 고탄소 배출업종의 저탄소 전환도 추진한다. 철강 부문은 수소환원제철과 전기로, 시멘트 업종은 석회석 대체원료와 수소기반 소성로, 정유 업종은 이산화탄소 회수 신기술 적용 등이 대표적이다. 업종 전반적으로는 스마트공장·그마트 그린산단·디지털 전환 등 도입에 나선다.
 
또 연료·원료, 공정, 제품, 소비·자원 순환으로 이어지는 산업 밸류체인의 전 과정에서도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탄소함유 원료는 저탄소 원료로 대체하고, 생산은 탈탈소 공정으로 전환한다. 제품은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 고부가 유망품목으로 전환하고, 폐기물 재활용·에너지 회수를 통해 소비·자원의 순환을 꾀한다.
 
농림·해양 생태계의 탄소 흡수원을 확충하기 위해 전 도시·국토의 저탄소화도 추진한다. 도시의 경우 건물의 탄소배출량 전생애주기를 관리하고 에너지 자립률을 제고하는 ‘탄소중립도시’ 조성에 나선다. 국토는 탄소저감에 불리한 수도권 집중구조를 다핵구조로 전환하고, 지역대도시 등에 맞춤형 탄소중립 실현공간을 구축한다.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신유망 저탄소산업도 육성한다. 고성능 리튬이차전지 등 차세대전지 핵심 기술 확보를 추진하고, 저전력 반도체 기술도 선점에 나선다. 기존 석유화학 대체산업으로 화이트바이오를 육성하고, 그린수소 기술·액화수소 및 수소터빈 등도 개발한다.
 
저탄소 경제·에너지 구조 전환 과정에서 피해를 입게 될 산업·지역·노동자를 위한 지원책도 내놨다. 기존 석탄발전 등 산업은 유망분야로 사업재편을 지원하고, 노동자들은 맞춤형 직업훈련과 재취업 지원을 강화한다.
 
세종=정성욱 기자 sajikoku@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정성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