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조용훈 기자] 정부가 올해 국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총 2627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 중 1300억원은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비용에 사용한다. 특히 신종 감염병에 대비한 mRNA 백신 기술 개발 등 차세대 치료제·백신 플랫폼 기술의 투자를 확대한다.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제9차 회의를 열고 '2021년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 지원 전략'을 논의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 지원 전략과 이동형 음압병동 개발현황 및 조기 상용화 추진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우선 코로나19 치료제의 경우 기존 개발한 항체치료제 외에도 경증~중증까지 중증도에 따른 포트폴리오 개발 전략을 마련, 임상 3상 진입이 임박한 전략 품목을 집중 지원한다.
특히 정부는 투약이 편리하고 접근성이 높은 경구용 치료제나 중증 환자 치료제 확보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또 내년에는 국산 1호 백신 접종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발 동향을 고려해 합성항원 백신 등 임상 진행 가능성이 있는 품목을 중점 품목으로 선정, 지원한다.
이와 함께 국산 치료제·백신 개발에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기업의 임상시험 비용 부담도 경감한다. 이를 위해 올해만 1314억원(치료제 627억원·백신 687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국가 주도의 신속한 임상연구도 진행한다. 치료목적 사용 승인 제도 및 연구자 임상연구에도 활용한다. 개발 완료 때에는 신속한 허가 및 국가출하승인이 이뤄질 수 있도록 식품의약품안전처 내 전담 조직도 확충한다.
신종 감염병에 대비해서는 차세대 치료제·백신 플랫폼 기술 등에 투자를 확대한다. 기술 융합형 컨소시움 형태의 mRNA 백신 사업단을 운영하는 등 mRNA 백신 기술 개발이 대표적이다.
개발·생산 기업 간의 매칭·연계 협력 지원과 한·미 공동연구, 글로벌 제약사·국내 기업 간 공동연구, 위탁생산 등 기술의 조기 확보를 위한 글로벌 협력도 늘린다.
방역물품·기기와 관련해서는 신속 진단키트, 이동형 음압병동 등 혁신제품이 조기 상용화되도록 현장 적용을 적극 지원한다. 진단키트 등 11개 전략 품목의 경우에는 고도화 및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 실증 및 교육훈련을 지원한다.
2021년 예산(안) 세부 현황. 표/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세종=조용훈 기자 joyonghu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