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정부가 4·27 판문점선언 3주년을 하루 앞두고 남북 '비대면 회담' 실현을 위한 영상회의실을 마련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북한과 비대면 회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통일부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계획해 추진한 사업이다.
26일 통일부는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 회담장 3층 대회의실에 영상회의실 구축을 완료하고 시연회를 진행했다. 남북간 회담 일정이 잡힌다면 '영상회담'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시연회는 남북회담본부 영상회의실에서 북한 대신 판문점 평화의집을 연결해 통일부 당국자들 간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영상회의실은 총 4억원의 예산을 들여 풀 HD급 카메라 6대와 98인치 대형 액정표시장치(LCD) 모니터 4대, 통합제어 프로그램 등을 설치해 마련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영상회담 운영은 대면회담과 큰 차이가 없다"면서 "만약 합의서를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양측이 서명 후 팩스로 전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남북이 영상회의에 동의하면 기술적 협의와 사전점검을 진행해야 한다"며 "회담 2~4일전엔 음성과 영상을 확인하고 당일엔 시스템을 개통하는 방식으로 협의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북한 측 영상 기술 부분에 대해서는 "북한 내부적으로 영상회의를 하는 동향이 포착되고 있다"며 "북한도 기술적인 부분과 경험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보안 문제에 대해서는 "남북간 직통전화 통신선은 1대1 전용선이기에 다른 곳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건 근본적으로 차단돼 있다"며 "보안당국과 실무적 점검도 했다"고 답했다.
다만 영상회담의 경우 비공식 논의를 통한 합의가 힘들 수 있다는 지적에 "과거 그러한 방식의 합의가 이뤄진 것은 사실이지만 바람직한지에 대해선 이견이 있다"며 "비공식 접촉이 필요하다면 영상회담하면서도 다른 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남북이 대표단 규모를 최소화해 만나는 '안심 대면회담'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방역 수준에 따라 △완전 비접촉 회담 △접촉 최소화 회담 △방역 안심존 회담 등이 예고된다.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신년사에서 "언제든, 어디서든 만나고, 비대면의 방식으로도 대화할 수 있다는 우리의 의지는 변함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 정책협의회에 참석해 격려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