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호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환자와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경희대병원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허리 통증으로 병원을 방문한 일부는 자가공명영상(MRI) 등 정밀검사를 통해 추간판 탈출증, 이른바 디스크로 진단받는다. 추간판 탈출증은 돌출된 수핵이 신경근을 압박해 심한 하지 방사통과 마비 증상을 유발하는 병적인 상태를 지칭한다. 대부분 추간판 탈출증 진단 이후 시술이나 수술을 먼저 고려하지만 심하지 않은 경우 운동 등 다른 치료법을 선택해야 한다.
이준호 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받은 사람 중 대다수는 디스크 내장증 혹은 신경근 압박이 심하지 않은 정도의 돌출 상태를 일컫는 추간판 팽윤증"이라며 "주기적으로 허리 통증이 나타날 수 있지만 하지 방사통까지는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치료법 선택을 서두르기보다는 증상이 심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올바른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를 방치하거나 혹은 잘못 관리할 경우 결국 바깥 섬유테 파열로 내부 수핵이 도출된다. 어느 순간 허리 통증이 사라졌다고 해서 증상 호전으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 한쪽 다리에 전깃줄 같은 저린감, 이른바 방사통으로 발전돼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준호 교수는 "일부 실험적 논문을 살펴보면 사람이 아무 활동을 하지 않았더라도 30대가 되면 허리 한두 마디는 자연스럽게 퇴행이 발생하며 대다수가 느끼지 못하다 생활 간 무리를 하거나 사소한 외상으로 인해 그 자각증상을 느껴 병원을 방문한다는 것"이라며 "무조건 수술하면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클 수 있기에 진단명 자체가 아닌 평소 생활에 무리가 없는지, 통증의 정도는 어떤지 등 자신의 삶을 되돌아본 후 고려해도 늦지 않다"라고 말했다.
해외 논문에 따르면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재발률은 2년 기준 대개 8~9%내외다. 물론 차이가 있지만 특정 보고에서는 30%로 표기되는 등 추간판 탈출증은 재수술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는 질환이다. 재수술 시 신경근 손상, 뇌척수액 누수, 수술부위 감염의 확률이 높아진다.
또 추간판 제거술을 재차 진행하면 향후 추간판 간격이 낮아지는 협착증 현상 등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심한 요통으로 인해 생활에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준호 교수는 "재수술을 고려함에 있어 본인이 이전 수술에 버금가는 유사한 통증 정도를 느끼는지의 여부가 중요하다"라며 "수술로 인해 신경관은 넓혀져 있기 때문에 설사 재발한다고 해도 전만큼의 통증보다 심하게 느끼지 않을 공산이 크다면 신경 차단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