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충범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5일 기준 금리를 종전보다 0.25%포인트 높인 연 1%로 결정했다. 급증하는 가계 빚과 집값 상승 등 금융불균형 우려에 '금리 인상 카드'로 제동을 건 셈이다. 이로써 작년 3월부터 시작된 '제로 금리 시대'는 1년8개월 만에 막을 내리게 됐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75%에서 1%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지난 8월 기준금리를 33개월 만에 0.25%포인트 올렸고, 10월에는 한차례 숨 고르기에 들어간 바 있다.
이 같은 금리 인상은 이미 예견됐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회의 직후 "경기의 회복 흐름이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다음번 회의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별다른 외부 변수가 없을 경우 사실상 기준금리를 높이겠다는 의미로 해석해왔다.
아울러 최근 불안정한 물가, 환율, 부동산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리면서 유동성 축소가 지속적으로 요구된 점도 한 몫했다. 저금리 기조 장기화로 늘어난 부채가 주식, 부동산 등 자산시장으로 끊임없이 유입되면서 우려를 키웠기 때문이다.
가파른 가계빚 증가에 따른 압박도 한은이 기준금리를 높인 주된 배경으로 풀이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844조900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163조1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다.
다만, 한은의 금리 인상이 효과를 거둘지 여부에 대해서는 '미지수'라는 비판적 의견도 만만치 않다. 통화 정책만으로 현재 물가 상승, 가계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그 원인이 단편적이지 않을뿐더러, 자칫 경기 회복세를 둔화시킬 우려도 있다는 지적에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금리 인상이 과도하게 빠르게 진행될 경우 오히려 경기 회복세를 저해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한편, 이날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기준금리(0.00∼0.25%)와의 격차는 0.75∼1%포인트로 벌어졌다. 내년 첫 금통위 회의는 1월 14일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5일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75%에서 1%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사진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이날 금통위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김충범 기자 acechu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