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주혜린 기자] 정부가 일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자립화를 펼쳐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을 대세계·대첨단미래산업 등 글로벌화로 육성합니다.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7대 분야 150대 소·부·장 핵심전략기술은 우주, 방산, 수소 등 3개 분야를 추가해 '10대 분야 200대 기술'로 영역을 넓힙니다.
또 소·부·장 기업의 기술·시장 성장 로드맵도 수립해 7년 이상의 장기 연구개발(R&D)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1차 소·부·장 경쟁력강화 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을 의결했습니다.
이번 소·부·장 전략은 ‘글로벌 제조 3강, 수출 5강을 이끄는 첨단 소부장 강국’ 비전을 목표로 기술 혁신, 생산 혁신, 수출 확대를 3대 축으로 정했습니다.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을 보면 기존 주력산업 중심인 7대 분야 150대 소부장 핵심전략기술에 우주, 방산, 수소를 포함시키는 등 10대 분야 200대 기술로 확대합니다.
지원은 분야별 특성에 따라 공정형(수요·공급기업 수평형 R&D), 모듈형(수요기업 주도형 R&D), 벤더형(공급기업 주도형 R&D) 등으로 유형화합니다.
미래 소재, 초임계 소재 등 초고난도 소·부·장 기술에 대해서는 3000억원 규모의 '소·부·장 알키미스트(연금술사) 프로젝트' 예타사업을 추진합니다.
모빌리티 경량복합수지, 고강도 생분해성 섬유 등 총 21종의 신소재는 인공지능(AI) 등 디지털방식(소재 DX)을 활용해 개발기간을 단축합니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는 상반기 중 신규 선정하고 소·부·장 특화단지를 3분기 중 추가 지정할 예정입니다.
국내 소·부·장 기업이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슈퍼 을’ 글로벌 소·부·장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국내외 최고 기술·시장전문가와 함께 해당 품목 및 기업의 기술·시장 성장 로드맵도 수립합니다.
이에 따라 원천·상용화기술을 통합한 7년 이상의 장기 R&D이 지원됩니다. 또 포상형(고난도 R&D 성공시 인센티브), 후불형(상용화 과제) 등 R&D 지원방식도 다양화합니다. 출연연 등 공공연구소 연구인력의 장기파견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1차 소·부·장 경쟁력강화 위원회’를 열고 성장 로드맵 수립 등을 담은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을 의결했습니다. 사진은 우주항공방산특별관 모습. (사진=뉴시스)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파트너로 성장할 수 있도록 수출도 지원 과제에 담았습니다.
미국·EU 시장의 경우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핵심원자재법(CRMA) 등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배터리 소재, 친환경차 부품 등 첨단 소·부·장 수출을 펼칩니다.
중국을 대체할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베트남 등 아세안 시장에는 국내와 현지 기업의 투자계획에 맞춰 자동차, 디스플레이, 전자 등 연관 소·부·장 수출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소·부·장 생산의 핵심 주체인 으뜸기업은 현 66개사에서 2030년까지 200개사로 확대합니다. 소·부·장 으뜸기업은 소·부·장 핵심전략기술을 보유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말합니다. 정부는 기술 고도화부터 판로 개척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업이 보유한 소·부·장 핵심전략기술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올해 하반기 총 264억원, 향후 4년간 총 1800억원 규모의 전용 R&D 과제를 전폭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2030년까지 희토류 표준물질 3종, 국제표준 8종도 개발합니다. 희토류는 전기차 모터, 반도체 공정 연마재 등의 소재로 글로벌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는 핵심품목입니다.
이번 소·부·장 경쟁력위원회에서는 산업부·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발굴한 5건의 신규 수요·공급기업간 협력모델도 승인했습니다.
산업부 협력모델은 자율주행용 라이다, 초저온 mRNA 백신 콜드체인 관련 소재부품, 초고정밀 직선이송부품 3건입니다.
중기부 상생모델은 전기자동차 전력모듈용 고절연 리츠 와이어, 반도체 세라믹 기판 및 CU 고속충진 기술 2건입니다.
정부는 이번에 선정된 협력모델 5건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4~5년간 약 400억원의 공동R&D, 환경·노동 규제특례, 금융·세제, 실증평가 등을 종합 지원할 방침입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소부장 산업은 제조업 생태계의 핵심이자, 첨단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소·부·장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촘촘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1차 소·부·장 경쟁력강화 위원회’를 열고 성장 로드맵 수립 등을 담은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을 의결했습니다. 사진은 발언하는 이창양 산업부 장관. (사진=뉴시스)
세종=주혜린 기자 joojoosky@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