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 전환하자 '휴가철 범죄' 고개…"8월 1·2주 새벽시간 주의해야"

에스원, 침입 범죄 빅데이터 기반 여름 휴가철 범죄 동향 분석 발표

입력 : 2023-07-26 오전 11:43:05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엔데믹을 맞이한 상반기 침입 범죄가 다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여름 휴가철을 맞아 침입 범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에스원(012750)은 26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0~2022년의 침입 범죄 빅데이터를 분석해 여름 휴가철 범죄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에스원 범죄예방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코로나로 침입 범죄가 연평균 25.8% 감소했지만, 올해 상반기 엔데믹 전환 후 침입 범죄가 전년 대비 1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에스원은 "이번 여름 휴가철에도 침입 범죄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자료=에스원)
 
3년간 분석 결과 전체 침입 범죄의 42.5%가 8월 1주차와 2주차로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간대를 살펴보면 새벽 시간대(0∼6시)가 65.8%로 가장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새벽 1~4시 사이에 가장 많은 범죄가 일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전 시간대(6∼12시, 13.5%), 오후 시간대(12∼18시, 7.2%)가 뒤를 이었습니다. 
 
에스원은 "침입 범죄가 새벽 시간대 집중되는 이유로 주택의 경우 우편물, 조명, 차량 주차 여부 등을 통해 빈 집임을 확인하기가 쉽고, 매장의 경우 주변에 인적이 드문 시간대를 노리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침입 장소로는 일반 매장(마트, 편의점, 의류점 등)이 4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음식점(26.1%), 사무실(7.2%)이 뒤를 이었습니다. 
 
침입 범죄 발생의 78.5%는 현금을 노린 범죄였습니다. 특히 현금을 노린 범죄의 88.2%가 100만원 이하의 소액을 노린 이른바 생계형 범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에스원은 사이버 공격 시도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정보보안관제센터 분석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 시도가 지난해 하반기 대비 올해 상반기 2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이버 공격 대상이 된 장소로는 기업이 94.9%로 대다수였고, 해커들은 웹사이트의 허점을 파고드는 웹 취약점 기반 공격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에스원은 "보안업계 1위 기업으로서 빅데이터 기반 침입 범죄 예방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 사회 안전문화를 조성하는데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이지은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