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업계, ESG 경영 '외면'

입력 : 2023-10-20 오전 6:00:00
 
[뉴스토마토 고은하 기자] 국내 패션업계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대비 중 E(환경) 항목이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간 업계에선 의류 재고를 처리하면서 소각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환경오염의 주범이란 지적이 제기되지만 대응책은 미비한 상황입니다. 
 
지속가능한 패션 이니셔티브가 지난달 4~20일 800여 개 섬유 패션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보면, 소비자 10명 중 8명(84.9%) 이상은 패션업체들의 ESG 경영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하지만 패션업체들의 9.4%만이 ESG 경영에 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소비자 조사의 경우 환경보존을 위해 섬유 패션업계가 시급하게 대응해야 할 사항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에 따른 기후 위기 대응'(28.1%), '적정생산 및 순환 공유 시스템 구축(20.1%), '친환경 소재공정 개발(15.7%), '미세 플라스틱 배출에 따른 해양 오염 방지(15.3%)' 등을 꼽았습니다.
 
통계청의 제조업 생산액 대비 재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의류업 내 재고율은 꾸준히 20%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동기간 제조업의 재고율이 최대 13%(2020년)인 점을 고려하면 패션업계의 재고율은 2배 이상입니다. 
 
글로벌 순환경제 네트워크 엘렌 맥아더 재단(Ellen MacArthur Foundation)에 따르면 매초 쓰레기 트럭 한 대(2.6t) 분량의 옷이 소각되거나 매립됩니다. 세계에서 가장 심한 오염을 일으키는 산업에서 2위는 패션산업입니다. 
 
상황이 이렇지만 패션업계에선 재고가 발생시 소각을 통해 재고를 소진합니다. 재고소각의 문제점은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멀쩡한 제품을 버리는 비윤리적인 행위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된 모든 에너지와 자원을 낭비 △소각 시 배출되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온실가스로 인한 환경파괴 등입니다.
 
최근 10년간 의류업·제조업 생산액 대비 재고 비율 현황. (사진=통계청)
 
장혜영 의원실 관계자는 "패션업계에서 폐기되는 재고의 양을 별도로 공지 및 고지하고 있지 않다"라며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 일부개정안을 통해 (폐기되는 재고량)을 고시하는 내용을 준비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국내의 의류 재고 폐기량의 명확한 통계는 부재합니다. 현재는 통계청이나 산업통상자원부(산자부)에서 나오는 주변부적인 통계를 인용해 활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명확하게 의류 재고에 대한 내용은 아니고 제조업 전반에서 산업별로 구획해 재고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지 파악하는 수준입니다.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과 자원순환기본법에는 순환자원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는데 현행법으로는 순환자원을 인정받기 위한 조건이 있습니다. 조건에 부합할 경우 순환자원의 사업자들은 환경부에 신청하는 구조입니다. 이후 환경부나 산자부가 공동으로 심의해 순환자원으로 인정하면 인정여부에 따라 의무와 지원 사항이 생깁니다.
 
장혜영 의원실 측은 "현재 법상으로 규정돼 있는 순환자원의 요건이 순환했을 때 경제성과 유해성이 없어야 된다고 명시돼 있다. 이 부분은 패션업계의 의류 재고에 둘 다 해당되는 내용"이라며 "현행법에선 순환자원으로 인정받는지는 개별사업자가 신청해야 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자에 대한 신청제가 아니라 순환자원으로 지정하고 이에 따른 의무와 지원 방안을 곧바로 적용하는 식으로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고은하 기자 eunh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고은하 기자
SNS 계정 : 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