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회 본회의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며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나흘 만인 7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자신의 거취를 당에 일임했습니다. 이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 정국 때 내놓았던 대책과 비교해 뚜렷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이 자신의 진퇴 문제를 '국회'에 맡겼던 반면, 윤 대통령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한 것인데요. 여전히 민심에 크게 부합하지 못한 수습책이란 평가가 나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대국민 담화에서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국정 최종 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의 절박함에서 비롯됐다"며 "하지만, 그 과정에서 국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끼쳐 드렸다.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많이 놀라셨을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저의 임기 문제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며 "향후 국정 운영은 우리 당과 정부가 함께 책임지고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는데요.
지난 2016년 국정농단 사태에 휩싸여 역시 탄핵 위기에 처했던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 역시 3차 담화를 통해 대국민 사과와 함께 자신의 진퇴 문제와 관련해 언급했습니다.
박 전 대통령은 2016년 11월29일 담화에서 "국민 여러분께 불찰로 심려 끼친 점 다시 한 번 사죄한다"며 말문을 열었는데요. 이어 "제 대통령직 임기 단축을 포함한 진퇴 문제를 국회의 결정에 맡기겠다"며 "여야 정치권이 합의해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고 안정되게 정권을 이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주시면 그 일정과 법 절차에 따라 대통령 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습니다.
두 대통령의 메시지는 비슷한 맥락이지만, 구체적으로 보면 큰 차이를 보이는데요. 당시 박 전 대통령은 자신의 거취를 '국회'에 맡기겠다고 한 반면, 윤 대통령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한 것입니다.
총리 기용에 있어서도 두 대통령은 다른 행보를 보였는데요. 당시 박 전 대통령이 정세균 국회의장을 만나 국회가 총리를 추천하면 수용하겠다고 국정의 중심을 국회에 둔 반면, 윤 대통령은 "향후 국정 운영은 우리 당과 정부가 함께 책임지고 해 나가겠다"며 '우리 당'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화를 자초한 상황에서 국정운영의 중심축으로 '국회'가 아닌 '당'과 더 밀착하며 스스로의 운신의 폭을 좁혔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오직 여당의 이탈표를 막는 데에만 중점을 둔 것이란 분석입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