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ICT)③라인야후·총수구속…'다사다난' 네카오

상반기 '라인야후'로 고초 겪은 네이버
정부 소극 대응도 도마…'데이터 주권' 화두 속 일단락
초유의 '총수 구속' 카카오…끝없는 위기
정부의 전방위적 압박…사법·제제리스크 잇따라
아픔 딛고 날갯짓…네카오 내년 "AI 앞으로"

입력 : 2024-12-25 오전 6:00:00
[뉴스토마토 배덕훈·오세은 기자] 네이버(NAVER(035420))와 카카오(035720) 등 포털 플랫폼은 올 한 해도 다사다난한 1년을 보냈습니다. AI(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하면서 기술 분야 혁신에 주력했지만 대내외 리스크가 부각되며 오히려 정치·사회 부문 이슈 중심에 섰는데요. 양사를 뒤흔든 리스크는 아직까지도 완벽히 해소되지 않아 잠재적 위험으로 자리 잡은 상태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사옥 전경 (사진=뉴스토마토)
 
네이버는 올해 상반기 느닷없이 터진 라인야후사태로 고초를 겪었습니다. 일본 정부가 지난해 11월 라인 앱 이용자의 개인정보 51만건의 유출 사고를 빌미로 올해 3월 라인야후에게 네이버와의 지분 관계를 정리하라고 압박하면서부터인데요. 라인야후는 메신저 라인을 운영하는 회사로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각각 지분을 50% 출자해 만든 A홀딩스의 자회사입니다.
 
일본정부는 두 차례의 행정지도를 통해 지분 매각을 압박해 왔는데요. 최수연 네이버는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일본의 행정지도 조치와 관련 자본 지배력을 줄일 것을 요구하는 행정지도가 이례적이라며 당혹감을 숨기지 못했습니다. 여기에 라인야후도 일본정부의 움직임에 발맞춰 탈네이버 행보를 가속화했는데요. 라인야후는 거듭 네이버와의 관계 단절 취지 발언을 이어가며 유일한 네이버 측 인사였던 신중호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도 사내이사에서 해임하고 이사진 전원을 일본인으로 채웠습니다.
 
라인야후가 입주해 있는 일본 도쿄 지요다구의 도쿄가든테라스기오이타워 (사진=연합뉴스)
 
느닷없이 불거진 라인야후 사태는 실적 호조를 기록하고 있는 네이버에게 먹구름으로 작용했는데요. 라인야후에 대한 모든 지배권을 포기할 경우 라인을 통한 글로벌 사업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네이버는 글로벌 시장에서 자체 개발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한 소버린(주권) AI’ 전략을 채택하고 있었는데요. 현재 공략 중인 중동 외에 일본과 동남아로 보폭을 넓히겠다는 비전을 세워두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시아 권역 2억명의 이용자가 사용하는 라인에 대한 지배권 상실 시 이 같은 비전은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라인야후사태와 맞물려 정부의 소극 대응도 도마에 오르기도 했는데요. 네이버가 공들여 키운 라인 사업을 일본에게 내어주는 것 아니냐는 전국민적 우려 속 정부가 뾰족한 대응을 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흐름 속 데이터 주권이 또 하나의 화두로 떠올랐는데요. 각국의 데이터 안보 강화 움직임 속 우리 정부의 기민한 움직임의 필요성도 요구됐습니다.
 
네이버의 라인야후 사태는 최 대표가 위탁 관계를 제대로 분리하는 차원에서 행정지도를 마무리하고 단기적으로 매각은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을 내렸다라고 밝히면서 일단락됐는데요. 다만, 라인야후가 이후 행정지도 보고서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곤란하지만 자본관계 재검토를 계속 협의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견지해 잠재적으로 사태 장기화에 따른 논란의 여지는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사진=연합뉴스)
 
초유의 총수 구속…카카오 끝없는 위기
 
상반기 라인야후 사태로 네이버가 이슈 전면에 등장했다면 하반기는 카카오의 사법리스크가 이슈를 덮었습니다.
 
지난 7월 법원은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 불거진 시세 조종 의혹으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경영쇄신위원장을 전격 구속했습니다. 당시 법원은 김 창업자의 구속 사유로 도주 우려증거 인멸을 모두 인정했는데요. 특히 대기업 총수로는 이례적으로 도주 우려까지 인정해 윤석열정부의 카카오 때리기영향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김 창업자는 구속 100일만에 석방됐지만 카카오의 위기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카카오는 윤정부 하에서 전방위적 압박을 받아왔는데요. 지난해 카카오의 기업명을 거론하며 부도덕하다는 대통령 언급 이후 사정당국의 매서운 칼 끝을 계속해 마주해야 했습니다. 특히 카카오는 그룹사를 포함해 공정거래위원회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으로부터 수차례 과징금을 부과 받았는데요. 카카오모빌리티는 경쟁사 콜 차단혐의에 대해 공정위로부터 724억원의 과징금을 받았습니다. 다만, 해당 과징금은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의 최근 판단에 따라 기준이 되는 매출액이 줄면서 151억원으로 삭감됐습니다. 공정위는 이와 별도로 카카오모빌리티가 가맹 택시와 수수료 계약을 체결하면서 자사 앱을 이용하지 않고 거둔 수입까지도 매출액에 포함해 수수료를 징수한 점을 문제 삼고 관련 제재에도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5월 카카오톡 오픈채팅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대해 15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는데요. 8월에는 카카오페이가 고객 동의 없이 중국 알리페이에 개인정보 약 524억건을 제공했다는 의혹도 받았습니다. 이는 현재 개인정보위에서 조사 중인데, 조사 결과에 따라 또 다른 과징금 등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카카오는 현재 일부 혐의에 대해 불복해 행정 소송을 진행 중인데요. 법원이 카카오 측의 손을 들어주지 않을 경우 그룹 신뢰성에 대한 타격은 불가피합니다.
 
카카오는 현재 마주하고 있는 리스크와는 별개로 문어발식 경영 비판을 받아온 성장 방식에 변화를 꾀하는 등 쇄신 작업도 이어오고 있는데요. 그 일환으로 계열사 수를 줄여나가는 노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정신아 카카오 대표 취임 후 이어진 선택과 집중기조 속 향후 계열사 정리는 추가로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 (사진=네이버)
 
아픔 딛고 날갯짓…네카오 내년 "AI 앞으로"
 
네이버와 카카오의 힘들었던 한 해를 반증하듯 올해 주가도 고전을 면치 못했는데요. 양사 모두 양호한 실적을 거뒀지만 주가는 영 힘을 받지 못했습니다. 여러 리스크와 미래 사업 전략에 대한 불투명성이 작용한 것인데요. 하지만 4분기 양사의 AI 전략이 구체화하고 긍정 실적 전망이 이어지며 주가도 반등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네이버의 경우에는 분기마다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해 왔는데요. 이에 따라 올해 연 매출 10조원 돌파도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양사는 내년에 AI를 중심으로 한 사업 전략에 집중하겠다는 목표인데요. 네이버는 검색을 넘어 탐색이 중심이 되는 온 서비스 AI’ 전략으로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카카오는 대화형 AI 플랫폼 카나나출시를 준비 중인데요. 사내 테스트 일정이 이달 30일로 정해지는 등 서비스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사진=카카오)
 
배덕훈·오세은 기자 paladin703@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배덕훈 기자
SNS 계정 : 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