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정부가 노후·파손이나 홍수배제능력이 부족한 저수지 등의 농업생산기반시설 개보수에 총 76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생산기반시설을 보수·보강하는 수리시설개보수사업 180지구(수원공 100·평야부 용배수로 80)를 신규 선정했다고 12일 밝혔습니다.
올해 투입 금액은 총 7617억원 규모입니다. 주요사업은 노후 저수지 보수·보강, 흙수로 구조물화, 저수지 저수능력 확대 준설, 배수장 성능개선, 노후 수리시설의 내구성·안전성 평가 안전진단 등이 이뤄집니다.
특히 배수장 성능개선은 30년 이상 경과한 노후 배수장의 홍수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장마철 이전까지 노후 펌프 17개소를 교체합니다.
농업용 저수지 총 1만7047개소 중 30년 이상된 시설은 1만6444개소(96.5%)에 달합니다. 대부분 노후화가 심각하고 평야부 용·배수로 총연장 18만9000㎞ 중 흙수로 9만2000㎞ 수로에서 용수 손실율이 높다는 게 농식품부 측의 설명입니다. 효율적인 물이용이 어렵고 기후 변화에 따른 태풍·집중호우, 가뭄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도 절실한 상황입니다.
현행 저수지 등 농업생산기반시설은 시설관리자(한국농어촌공사, 시·군)의 분기별 정기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관리되는 곳입니다. 위험도가 높은 취약시설인 D등급 이하에 대해서는 우선 선정을 통한 개보수사업을 추진합니다.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기후 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등 극한호우가 빈발함에 따라 노후 수리시설의 안전성 확보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어 개보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재해에 강하고 안전한 농업기반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생산기반시설을 보수·보강하는 수리시설개보수사업 180지구(수원공 100·평야부 용배수로 80)를 신규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사진=뉴시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