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가 해킹과 관련해 통신 3사에 비판 수위를 높이며 철저한 관리 감독을 요구했습니다.
SK텔레콤(017670)은 지난 4월 발생한 유심 해킹 관련 손실 규모를 과장해 국회를 기만했다며 위증죄로 고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KT(030200)와
LG유플러스(032640)를 향해서는 북한이 배후로 추정되는 해커 조직 '김수키'가 공격을 감행했다는 의혹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사실 파악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20일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이훈기 민주당 의원은 "지난 5월8일 SK텔레콤 청문회 당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해킹 사태로 위약금을 면제할 경우 500만명의 가입자가 이탈해 7조원 손실이 우려된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 70만명이 번호이동 하는 데 그쳤다"며 "여기에 700억원이 소요됐는데, SK텔레콤이 가입자를 협박하고 국회를 능멸한 처사"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최민희 과방위원장에게 "재발 방지를 위해 위증으로 고발해 달라"고 제안했습니다.
이에 대해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은 "단순히 위약금만으로 (피해액을) 계산해선 안 되고 가입자가 빠져 매출이 줄어드는 것까지 합산해야 한다"며 "500만명 이탈할 것으로 과도하게 수치를 계산한 걸로 볼 수 있지만, 어떻게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겠냐"고 SK텔레콤을 두둔했습니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도 "당시 약관대로 해지를 해줘야 한다는 것이 여야의 의견이었다"면서도 "이런 내용을 위증으로 고발하는 형태로 가다 보면 국회가 과도하게 압박하는 걸로 비칠 수 있어서 신중해야 한다"고 박충권 의원 의견에 동조했습니다.
최민희 국회 과방위원장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안건을 상정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KT와 LG유플러스에 대해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해킹 가능성에 대해 철저하게 살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최민희 과방위원장은 "북한과 연관된 화이트 해커가 KT와 LG유플러스를 해킹했다는 해킹 기술 전문지 '프랙' 보고서가 공개됐다"며 "그냥 넘어가서는 안 되고, 꼼꼼하게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미국의 해킹 기술 잡지 <프랙>은 40주년 기념호에서 보고서를 공개하며 북한의 국가 배후 해커 조직 '김수키'가 국내 정부와 통신사 등을 공격했다고 밝혔습니다. KT의 경우 원격 제어 서비스에 대한 인증서와 개인키를 탈취했으며, LG유플러스는 해커가 회사에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를 해킹한 뒤 내부에 침투했다고 기재했습니다.
이에 대해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통신사로부터 침해 사실이 없다는 내용을 확인했지만, 자료 제출을 받아서 같이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최 위원장은 "SK텔레콤 해킹 사태에서도 초기와 달리 조사 범위가 확대될수록 해킹 피해 범위가 넓어졌다"며 "꼼꼼하게 점검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