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김태은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북한의 태도가 냉랭하다. 그게 우리의 현실"이라며 "지금 통일 얘기를 하면 바보 소리 듣는다. 그 전 단계인 평화를 구축하는 게 중요하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당사자임에도 가장 (우리에게) 냉담하고 적대적인 것이 슬픈 현실"이라면서도 "특별한 진척은 없지만 노력은 끊임없이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남한 정부가 갑자기 정권이 바뀌더니 대북 방송도 안 하고, 몇 가지 유화 조치를 한다고 해서 그들(북한)이 획 돌아서서 화난 표정을 갑자기 활짝 웃는 표정으로 바꿀 거라고 기대했다면 바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게 군사적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이기도 하지만 경제적 측면에서도 엄청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휴전선에 군사적 긴장을 조금이라도 완화하는 것이 우리한테 이익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이재명이 종북이라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안보를 위해서 경제를 위해서 민생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라며 "끊임없이 한반도의 긴장 완화를 위해,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동시에 북·미 관계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북한 입장에서도 체제 위협의 핵심은 남한이 아니라 미국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니까 어떻게든지 미국과의 관계가 남북 관계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바라봤습니다.
이어 "휴전 협정 당사자도 미국"이라며 "한국 정부는 사인도 못했다. 당사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들(북한) 입장에서 보면 '전시작전권도 없는 나라가 무슨'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북·미 관계가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역할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습니다. 이 대통령은 "북·미 관계가 개선되고 북·미 대화가 열리는 게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된다"며 "그것을 우리가 주도하거나 아니면 우리의 바운더리(영역) 안에서 이뤄져야 된다고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저는 생각한다. 그래서 제가 '페이스 메이커' 하겠다고 한 것"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지금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이라며 "'한반도 평화 문제를 실질적으로 진전해 내면 진정한 '피스 메이커'(평화 중재자) 아니겠는가 (트럼프 대통령이) 역할을 해주시라'고 얘기했고, 지금도 저의 기본적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했습니다.
김태은 기자 xxt197@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