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은폐에 KT 집중 추궁…김영섭 "관리 부실 인정"

서버 폐기·늑장 신고 도마 위…증거인멸 의혹에 국회 '맹공'
10년간 방치된 펨토셀, 관리 부실 인정
대표 거취 논란 확산…"사태 책임지고 물러나야" 국회 압박

입력 : 2025-09-24 오후 3:52:54
[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무단 소액결제로 금전적 피해를 일으킨 KT(030200)에 대해 사건 축소·은폐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문제시된 서버를 폐기하고 늑장 신고를 한 결과 사태를 키웠다는 것이 국회의 시선입니다. 이에 대해 김영섭 KT 대표는 관리 부실의 문제를 인정하면서도 은폐 의혹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는데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소속 의원들은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기간통신사업자 대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국회 과방위는 24일 대규모 해킹 사고 관련 청문회에서 KT의 서버 폐기, 늑장 신고 등 해킹 사태를 고의로 축소한 것과 은폐한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했습니다. 
 
KT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지난 7월19일 유출 정황에 대해 보안 점검 안내를 받았으나 자체 조사 후 침해 사실이 없다고 회신했습니다. 이후 문제시된 원격상담시스템 서버를 8월1일 종료한 후 8월13일 폐기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회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김영섭 KT 대표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대규모 해킹 관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사진=뉴스토마토)
 
이훈기 민주당 의원은 "가장 중요한 서버 폐기에 대해 말을 바꿨는데, 이는 증거인멸을 위한 조직적 은폐이자 범죄"라고 일갈했습니다. 같은 당 이주희 의원도 "KT의 서버 폐기 과정을 보면 증거인멸이 됐다고밖에 볼 수 없을 정도로 이상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라며 "최종적으로 침해 사실이 확인됐다는 확정 보고가 있지도 않은 상태에서 서버가 폐기됐다"고 지적했습니다. 
 
KT의 유출 내용과 피해 범위 등에 대한 회사 측 답변이 뒤바뀐 점도 논란이 됐습니다. 앞서 KT는 정보 유출 정황을 신고했지만 개인정보는 유출되지 않았다고 발표했습니다. 이후 5561명 고객의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유출을 발표했고, 지난 18일에는 IMSI를 포함한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와 휴대폰 번호 추가 유출 등 2만여명의 정보 유출이 진행됐다고 했습니다. 피해 인원과 금액도 지난 11일 278명·1억7000만원에서 18일에는 362명·2억4000만원으로 규모가 확대됐습니다. 
 
이에 대해 김영섭 대표는 "사실 확인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면서도 "여러 처리 과정에서 부적절하거나 부족한 부분은 있었지만 조직적인 은폐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의 고의적 은폐에 대해 살펴본다는 방침입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KT의 서버 폐기 문제, 신고 지연에 대해 고의성이 있었는지 파악하는 대로 필요하면 경찰 수사 의뢰 등 강력 조치하겠다"며 "KT 말에 의존하지 않고 철저하게 보겠다"고 말했습니다. 
 
김영섭 KT 대표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대규모 해킹 관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사진=뉴스토마토)
 
10년 동안 펨토셀 방치…김영섭 대표 "관리 소홀했다" 
 
사건 축소·은폐 의혹 외에 KT의 관리 부실도 문제로 지목됐습니다. 무단 소액결제 원인으로 지목된 초소용기지국(펨토셀)은 10년가량 관리가 안 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펨토셀 설치·관리를 외주 업체가 맡고 있느냐는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김영섭 대표는 "그렇다"고 답했는데요. 관리 부실이 사건을 초래한 원인이라는 지적에 "인정한다"고 말했습니다. 
 
경쟁사인 SK텔레콤(017670)을 보면, 일주일 동안 접속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펨토셀 기기를 끄고 이후 3개월간 모니터링을 해 접속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형상을 삭제하거나 망 접속을 차단합니다. LG유플러스(032640)는 펨토셀 유효 인증 기간을 2년으로 설정했으며, 30일 이상 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기기를 끕니다. 하지만 KT는 인증 기간을 10년으로 설정했습니다. 이번 사태 발생 후에야 인증 기간을 1개월로 변경했습니다. 
 
경영 능력 도마위…대표 책임론 목소리 커져 
 
국회 과방위는 이날 KT의 경영 문제로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금전적 피해까지 발생한 것에 대해 김영섭 대표가 책임져야 한다는 목소리를 키웠습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황정아 민주당 의원은 "대표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이 사태를 책임진 이후 물러나겠다고 말해야 하지 않겠냐"고 지적했습니다. 같은 당 한민수 의원도 "(KT) 임원진이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도 "실제 피해 금액이 발생해 KT가 롯데카드보다도 상황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설마 연임을 생각하는 건 아니지 않느냐"고 물었습니다. 
 
김영섭 대표는 의원들의 지적에 "지금 말하기 적절하지 않다"며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 김영섭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 주주총회까지입니다.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에 대해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는 국회 과방위 지적에 대해 김 대표가 사실상 임기 유지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이지은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