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부터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 의약품에 100% 관세 부과를 예고했습니다. 앞서 언급했던 최대 관세율 250%에 미치진 못하지만 최혜국 대우가 약속됐던 한국은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꼴입니다. 정부의 장기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제언이 나오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 발언이 정책으로 이어진 예가 많지 않아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등장합니다.
2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현지시간) 자신의 SNS를 통해 다음 달 1일부터 미국 외 지역에서 생산된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부과 엄포는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8일 내각 회의에서 최대 1년6개월의 유예기간을 부여한 뒤 수입 의약품에 2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습니다. 지난달 5일에는 <CNBC>와 인터뷰에서 최대 관세율 250% 계획까지 꺼내들었습니다.
미국의 수입 의약품 관세율이 당초 경고했던 숫자보다 내려가긴 했으나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던 한국 입장에선 청천벽력 같은 소식입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미 의약품 수출 규모는 약 17억8042만달러입니다. 전년과 비교하면 22억7496만달러에서 약 21.7% 감소했지만, 미국에 17번째로 많은 의약품을 수출한 규모입니다.
제약바이오 업계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가 한국 기업들에게 적잖은 영향을 줄 것이란 비관적 전망이 먼저 나왔습니다. 미국 생산설비를 갖춘 기업이 많지 않은 탓입니다.
업계 불안감은 정부 지원 확대 요구로 이어집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성장하고 있는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에 영향이 없진 않을 것"이라며 "민간과 정부가 정확하게 현 상황을 파악하고,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부가 정책적인 또는 금융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부회장은 또 "단기적인 전략뿐 아니라 중장기 전략 마련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의약품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국내 기업들의 피해가 불가피하지만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습니다. 200% 관세가 부과될 의약품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데다 트럼프 대통령의 선언이 실제 정책 집행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미국이 기존에 부과하고 있는 (의약품) 품목 관세는 HS 코드로 관리된다"며 "의약품에 대한 HS 코드로는 브랜드의약품이나 특허의약품, 개량신약·바이오베터, 제네릭와 바이오시밀러 등 특허만료의약품을 구분할 수 없다"고 짚었습니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관련 수많은 말을 뱉었지만 이 가운데 실제 이뤄지지 않은 것들도 상당수"라며 "미국 정부가 구체적인 관세 부과 계획을 마련해 발표할 때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