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뉴스토마토 백아란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인공지능(AI)은 세계의 질서를 새롭게 짜는 변곡점 역할을 할 것”이라며 “AI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글로벌 플레이어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AI가 단순한 기술을 넘어 인류의 미래를 결정한 핵심으로 부상한 만큼, 시장 주도력을 갖기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AI 데이터 센터 등 인프라 구축에 투자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AI활용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퓨처테크포럼AI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사진=백아란기자)
28일 최 회장은 경북 경주엑스포대공원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 부대행사인 ‘퓨처테크포럼 AI’에 참석해 “AI는 국가의 성장엔진이자 안보자산이 돼 국가 간 경쟁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앞으로 AI속도나 규모의 경제가 기업과 나라 간 격차를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실제 AI 시대 개화로 전 세계에서는 앞다퉈 AI 인프라 확대에 힘을 싣고 있으며 고대역폭메모리(HBM)부터 반도체 소재, 장비까지 최선단 제품을 중심으로 숏티지(공급부족)가 현실화하며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슈퍼 사이클(장기호황)’도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대해 최 회장은 “미국은 AI전쟁에서 승리하겠다는 전략적 목표로, 미국 AI기술을 전 세계에 확산시키겠다는 아이디어와 전략적 목표를 가지고 있다”며 “중국은 ‘기술 자립’과 ‘내수 확대’라는 두 가지 축으로 AI 경쟁력을 강화하려고 한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는 “미국과 중국, 일부 빅테크의 경우 한국이 투자하는 액수에 0이 최소 1~2개 더 붙는 수준이고, 속도 경쟁도 아주 치열하다”며 “AI투자를 엄청나게 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라마다 또 각 회사마다 새로운 파고에서 해법을 찾아내야 되는 실정”이라고 짚었습니다.
한국이 나아가야할 방향으로는 글로벌 플레이어와의 기술연대와 테스트베드 역할을 제시했습니다. 최 회장은 “대한민국의 경우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아주 긴밀히 협업해서 해법을 모색하고 있는데 민관 협력 기반의 컴퓨팅 인프라 구축 사업이나 독자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는 기술 자립을 위한 노력”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다만 “최근 AI는 논리적 단계를 거쳐 문제를 해결하는 ‘리즈닝(Reasoning) 모델’에서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에이전틱(Agentic) AI’시대로 넘어가고 있다”면서 “급속한 발전과 변화는 병목현상을 일으킬 수 있어 이에 대비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28일 열린 퓨처테크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백아란기자)
그 일환으로는 1990년대 말 ‘벤처붐’을 거론하면서 “과거 우리가 인터넷이나 모바일 역사에서 이미 증명해 냈던 일처럼 대한민국이 많은 테스트베드가 되고 (외국의) 벤치마킹이 되면 전 세계 AI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습니다.
AI모델에 대해선 ”빅테크나 최첨단에 있는 모델보다는 조금 떨어질지언정 효율적이고 비용에 적당히 맞출 수 있는 형태로 우리가 얼마나 잘 쫓아가고 움직이느냐가 중요하다”며 “다양한 솔루션을 묶어 AI 보틀넥(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좀 더 좋은 AI가 우리 생활에 빨리 올 수 있도록, 글로벌 AI 혁신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SK그룹 주관으로 진행된 퓨처테크포럼 AI는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을 주제로 꾸려졌으며 최 회장과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매트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경훈 OpenAI Korea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사이먼 밀너 Meta 부사장, 최예진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 니틴 미탈 딜로이트 글로벌AI리더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고려한 정책 설계와 민관의 유기적 협력, 교육 및 인력 양성을 위한 인프라 투자 병행의 중요성도 강조됐습니다. 하정우 수석은 “AI 3대 강국은 정부의 노력만으로 될 수 없고 기업과 국민,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이 정말 중요하다”며 “정부에서 미래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를 전폭적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피지컬 AI, 국방문화 등 사람 중심의 포용적 AI 기본 사회를 실현하고 삶의 질과 문화적 풍요를 높이고 국제사회와 함께 나눠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최 대표는 “새로운 변화를 기술의 크기보다 기술의 체질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AI가 진정한 의미를 가지려면 그 혜택이 더 많은 사람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매트 가먼 AWS CEO는 “AI 시장은 잠재력이 크고 노동시장에서의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며 “AI가 가진 기술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경주=백아란 기자 alive0203@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