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뉴스토마토 표진수 기자] 한국 정부와 민간기업이 힘을 합쳐 인공지능(AI) 인프라를 확보하는 ‘팀코리아’ 전략이 현실화됐습니다. AI 강대국을 노리는 한국 정부와 삼성전자, SK, 현대차, 네이버 등 주요 기업들이 엔비디아와 대규모 AI 칩 공급계약을 맺으며, AI 3대 강국을 목표로 하는 한국과 미중 무역 갈등 속 시장 다변화를 추진하는 엔비디아 양측 모두에게 득이 되는 계약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접견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대통령실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등 국내 주요 기업인들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회동을 가졌습니다. 
 
이번 회동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공동 번영을 논의하는 APEC을 계기로 이뤄졌습니다. 글로벌 AI 선도기업인 엔비디아와 협력해 ‘AI 3대 강국’과 ‘AI 기본사회’의 실현 기반을 조성하고, 혁신의 혜택을 누구나 고르게 누리도록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으로, 최근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함께하기로 했다”라고 했습니다. 이어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 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기를 기대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AI 분야 주도권을 쥐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입니다. 
 
접견에서는 피지컬 AI 등 핵심 분야 AI 인프라 구축 및 기술 협력, AI 기술 공동연구,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과 관련해 엔비디아와의 협력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엔비디아의 최신 GPU 총 26만장 이상을 포함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공공 및 민간의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지난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그래픽카드(GPU) '지포스' 출시 25주년 행사에서 단상에 올라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를 공급하기 위한 막바지 과정을 밟고 있는 만큼 이 회장, 최 회장과의 만남이 높은 관심을 모았습니다. 현대차그룹도 피지컬 AI 등 핵심 AI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대차, 엔비디아는 이날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엔비디아와의 대규모 계약은 정부의 정책 노력이 민간 기업의 투자로 이어지며 시너지를 만들어낸 사례입니다. 정부는 AI 반도체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주요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을 꾸준히 추진해왔으며, 이번 계약은 그 성과 중 하나입니다. 
 
엔비디아는 미중 무역 갈등이 심해지면서 중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시장을 다변화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중국으로의 고성능 AI 칩 수출을 막고 있어 엔비디아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 합니다. 
 
반도체 강국이면서 AI 기술 투자를 늘리고 있는 한국은 엔비디아에게 매력적인 파트너입니다. 한국 기업들의 AI 인프라 투자가 빠르게 늘고 있어 엔비디아는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젠슨 황은 “한국의 AI의 발전을 위해서 함께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이다. 앞으로 한국이 AI의 여정에 있어서 함께하게 되어 굉장히 기쁘고 기대가 크다”라고 했습니다. 
 
경주=표진수 기자 realwater@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