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상민 기자] 팀네이버가 엔비디아와 함께 대한민국 제조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디지털 혁신을 위해 버티컬 인공지능(AI)의 현장 적용을 확대하는 등 산업 현장의 AI 전환을 위한 본격적인 지원에 나섭니다.
 
이해진 네이버(
NAVER(035420)) 이사회 의장은 31일 오후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의 접견에 함께 참석했습니다. 
 
이해진 의장은 이 자리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자동차의 SDV 전환이 보여주듯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이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는 "이번 협력이 AI 기술의 산업 현장 확장을 가속화하고 제조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업무협약(MOU)를 맺고 현실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합니다. 또한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국가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현장의 AI 활용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를 통해 조선, 에너지, 바이오 등 주요 산업별 특화 AI 적용 모델을 발굴하고 확산을 주도해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AI 기술이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양사는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등 차세대 기술 역량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Omniverse), 아이작 심(Isaac Sim) 등 3D 시뮬레이션·로보틱스 플랫폼을 결합합니다. 이를 통해 현실 산업 환경을 가상 공간에서 정밀하게 재현하고 AI가 분석·판단·제어를 지원할 수 있는 구조로 피지컬 AI 플랫폼을 구현해 나갈 예정입니다. 
 
특히 이번 협력은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시한 '소버린 AI 2.0' 비전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기존 소버린 AI가 자국의 언어와 문화 중심의 AI 모델과 생태계를 구축해 기술 주권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AI 2.0은 이를 국가 핵심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한 개념입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 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해 하이퍼클로바X 모델 오픈소스 공개, 국가 AI 프로젝트 연계,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산업·학계·연구기관 전반의 협력 생태계 조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AI 기술이 산업 현장의 생산성과 안전, 효율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피지컬 AI 시대'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스케일 AI 인프라와 클라우드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과 로보틱스 기술을 결합해 산업 현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제조산업의 AI 혁신을 함께 이끌어가는 신뢰받는 기술 파트너가 되겠다"고 밝혔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 참석해 있다. (사진=뉴시스)
 
 
 
신상민 기자 lmez0810@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