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백아란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의 성장을 위해 “규모가 아닌 효율로 경쟁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최태원 SK회장(오른쪽)이 SK AI써밋에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백아란기자)
최 회장은 3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2025’에서 “AI 컴퓨팅 파워에 대한 공급은 수요 성장세를 따라가기 어려워 상당한 미스매치가 일어날 것”이라며 “AI의 현재와 가장 효율적인 AI솔루션을 찾는 것이 SK그룹의 미션”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지난주 경북 경주시에서 열렸던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을 거론하며 “서밋 내내 모든 이야기가 AI였다”며 “AI가 변화하는 속도는 자고 일어나면 달라질 정도로 빠르고 모든 사업과 정치, 경제안보, 군사까지도 AI가 화두의 중심에 있다”라고 진단했습니다.
AI 수요 증가 배경으로는 △추론의 본격화 △기업간거래(B2B)에서 AI 도입 △에이전트 AI의 등장을 지목했습니다. AI가 주어진 질문에 대해 더 깊게 생각하고 자신의 답에 대한 검증을 반복, 더 나은 답변을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컴퓨팅(연산) 수요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입니다.
이를 위해 SK는 △메모리반도체 △AI 인프라 △AI 활용을 주요 과제로 제시하며 메모리 공급량 증가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고, 기술 개선을 통해 AI 확산의 걸림돌인 ‘수요, 공급의 불일치(병목현상)’를 해결한다는 방침입니다.
최태원 SK회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백아란기자)
최 회장은 “너무 많은 기업들로부터 메모리반도체 공급 요청을 받고 있는데 오픈AI로부터는 초대형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필요한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월 90만장씩 공급해달라고 요청받았다”고 소개했습니다.
그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추진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과 오픈AI와 진행할 서남권 AI 데이터센터를 언급하며 “SK는 스스로 데이터센터를 만들고 반도체부터 전력, 에너지설루션까지 제공해 가장 효율적인 AI 인프라 설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부연했습니다.
이어 “기술 발전 속도를 강조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조차 더 이상 우리에게 속도를 얘기하지 않는다”며 자신감을 내비치며 “AI의 문제를 풀 수 있는 건 AI인만큼 메모리반도체 생산 속도를 높이고 데이터센터 운영 자동화와 가상화에 AI 적용을 늘리겠다”고 했습니다.
백아란 기자 alive0203@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