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황인표기자] 최근 영업정지된 저축은행들의 행태가 점입가경이다. 대통령이 '공정사회'를 외치는 동안 지역 VIP회원들에게만 귀띔으로 불법 인출을 해준 부산저축은행은, 검찰 수사 결과 7조원대 '금융 비리 종합 백화점'으로 드러났다.
이 은행 박연호 회장은 '묻지마식' 대출을 지시해 회사에 손해를 끼치면서도 6년간 329억원의 배당을 챙겼다. 검찰은 2일 박 회장을 비롯, 주요 임원 10명을 구속 기소하고 11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금융감독원 출신 감사들은 업계와의 유착을 의심 받고 있다.
이 은행을 포함해 지난 2월 영업정지된 다른 6개 은행의 사정도 다르지 않다. 7개 은행을 합친 부실규모는 실제 공시액(510억)의 66배에 이르는 3조3688억원이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조작도 심각해 최하가 -6%대였지만 실제 -91.35%로 나타났다. 시장과 감독기관을 모두 속인 것으로, 상식적인 수준에서 죄질을 볼 때 금융회사가 아니라 사기꾼이라고 할 수 밖에 없을 정도다. 금감원 전자공시의 회계보고서는 믿을 수 없게 됐다.
3일에는 중견 저축은행인
제일저축은행(024100)의 임원과 말단사원들이 업체로부터 마카오 여행경비, 도박자금까지 받고 600억원대 불법대출을 해주다 덜미를 잡혔다. 이들이 이 업체에게 해준 PF대출만 2000억원. 물론 담보 심사 같은 건 제대로 하지 않았다.
이 은행 관계자는 "임원 비리는 사실"이라면서도 이용준 은행장의 연루설은 부인했다. 최고책임자가 이런 부실 대출을 몰랐다면 더 큰 문제다.
불안과 걱정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부산계열저축은행들은 자산10조원대로 업계 1위였다. 1위 은행이 이 정도니 나머지 100여개 저축은행들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방 저축은행은 대주주 쌈짓돈처럼 대출이 운영된다"는 말까지 했다.
이쯤되면 저축은행이 필요한지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이 들 만하다. 서민금융 지원이라는 본래 취지와 달리 고리 이자를 받고 불법대출로 자기 주머니만 챙겼다. 지난 2008년부터 제기된 PF부실은 해결될 기미 없이 국민 세금 수 조원만 들어갔다. 저축은행의 존재 이유에 대해 금융당국과 업계 관계자들은 스스로 돌아볼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