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유통업계가 연일 상생을 부르짖고 불우이웃 돕기 등 사회공헌 활동을 홍보하고 있지만 정작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애인 고용은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정부에서 정한 의무고용률 2.5%에 한참 못 미치는 것은 물론 근로자 수가 많은 대기업일수록 장애인 고용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장애인 고용 저조기업 명단'에 따르면 지난해 6월말 기준 에브리데이리테일 0.20%,
GS리테일(007070) 0.33%, BGF리테일 0.38%, 하이마트 0.48%, 이랜드리테일 0.52%, 신세계인터내셔날 0.24%, 지마켓 0.24%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 기업집단에 속하는 GS리테일은 장애인 의무 고용인원 229명 중 30명, GS홈쇼핑은 22명 9명,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1명 중 2명 등 기업 규모와 고용인원이 많은 대기업일수록 장애인 고용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유통기업 중 동화면세점, 파라다이스면세점 등 아예 장애인 고용이 없는 기업도 있었다.
이 경우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33조제3항에 의거 월 최저임금액의 60%인 1명당 월 59만원(지난해 기준)의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내야 한다.
장애인 고용 대신 벌금으로 때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올해는 최저임금이 인상돼 지난해에 비해 6.1% 오른 62만6000원이 부과된다.
매년 반복되는 이 같은 지적에도 유통업계는 장애인에게 맡길 수 있는 업무가 제한적이라 낮을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롯데쇼핑은 지난해에만 중증 장애인 48명을 비롯해 총 52명의 장애인을 채용해 장애인 고용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이를 통해 2011년 2.07%였던 장애인 고용률을 지난해 6월 2.18%까지 끌어올렸다.
롯데쇼핑은 지난해 전국 43개 롯데시네마 직영점에 '1영화관 1장애인고용'을 목표로 3D안경 세척원, 영화관 청소원, 매표원 외에도 영사실 보조원 등 직무를 발굴해 장애인 채용에 나섰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도움을 받아 4월부터 6월까지 38명의 정신·지적·자폐성장애인을 선발해 전국 31개 롯데시네마에 배치했다.
이외에도 롯데그룹 장애인 공채를 통해 경증장애인 1명을 본사 사무직으로 채용했고, 9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한 하반기 채용에서는 13명(중증 10명)을 추가로 선발해 10여개 롯데시네마에 배치했다.
올해는 미 고용한 직영관을 중심으로 장애인고용을 지속적으로 늘리는 한편 장애인근로자의 인사관리를 위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유통시장 전체가 침체돼 있어 장애인 고용에 따른 인프라 확충에 부담이 가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장애인 가능 업무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장애인 고용률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