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양예빈기자] 국내 비은퇴 가구의 종합 노후준비는 절반 수준에 그쳤으며, 특히 재무적 측면의 평균 노후준비는 4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3 한국 비은퇴 가구의 노후준비 실태' 보고서를 20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재무적 측면과 비재무적 측면을 모두 반영하여 종합적 노후준비도를 계량화한 'KB노후준비지수' 는 평균 50.3으로 나타났다. 비재무 준비지수(65.3)에 비해 재무준비지수(40.3)가 낮아 노후생활에 필요한 자금 준비가 상대적으로 더 취약했다.
재무준비지수가 40.3이라는 의미는 현재와 같은 노후준비 활동을 은퇴 시점까지 지속할 경우, 가구가 예상하는 월평균 노후생활비(227만원)의 40.3%(91만원)만이 준비될 것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재무준비지수는 지난해 46.3에서 올해 40.3으로 크게 하락했다.
장기화되는 경기침체가 가계의 일상 소비생활뿐만 아니라 노후준비에도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전체 비은퇴 가구의 31.1%가 재무준비지수 10 미만에, 19.7%가 재무준비지수 90 이상에 집중되어 경제적 노후준비의 양극화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준비지수 10 미만인 가구의 비중은 지난해 21.8%에 비해 9.3%포인트 증가하며 경제적 준비가 취약한 계층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거주 주택과 같은 부동산 자산 활용이 노후준비 부족을 보완하는 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주택연금 등을 활용해서 부동산자산을 노후자금으로 유동화할 경우, 비은퇴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가40.3에서 50.5로 10.2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효과는 부동산 보유율이 높고 노후준비가 부족한 50대 가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KB경영연구소 김희규 연구위원은 "준비 기간이 많지 않은 장년층 가구는 보유 부동산을 노후자금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20~30대 가구는 고수익추구상품 투자 비중을 확대해 노후준비도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 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사회적으로는 소득과 자산의 양극화가 노후준비의 양극화로 심화되지 않도록 금융교육과 제도적 보완장치 등을 강화해야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