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진아기자] 우리나라의 '임금 없는 성장'이 국제적으로 가장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없는 성장'이란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임금은 줄고 노동생산성은 늘어나는 것을 말한다. 즉 임금 근로자들이 일은 열심히 했지만 보상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는 의미다.
28일 한국금융연구원의 '임금없는 성장의 국제 비교' 보고서를 보면 한국은 실질 임금과 실질 노동생산성이 서로 비슷하게 움직이다가 2008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격차가 심하게 벌어지기 시작했다.
명목 임금을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조정한 한국의 실질 임금(사회보장기여금 포함)은 2007년∼2012년 사이에 2.3% 줄었다. 이에 비해 1997년∼2002년과 2002년∼2007년 동안 실질 임금은 각각 19.4%, 17.6% 증가했다.
반면에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근로자 수로 나눈 실질 노동생산성은 2007년~2012년 동안 9.8% 올랐다. 실질 노동생산성은 2007년 이전까지 연 3% 가량 성장한 이후 주춤해지긴 했어도 연 평균 1.9%대를 이어갔다.
박종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실질 노동생산성과 실질 임금은 서로 비슷하게 움직여 오다가 2008년을 계기로 양자의 괴리가 심각하게 벌어지는 '임금 없는 성장' 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제공=한국금융연구원)
특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자료를 얻을 수 있는 28개 국가와 비교하면 2007년에 비해 2012년(또는 2011년)의 실질 임금이 우리나라보다 더 많이 하락한 나라는 11개 국가였다.
이 가운데 재정위기를 겪은 PIIGS(포르투갈·이탈리아·아일랜드·그리스·스페인)와 1인당 GDP가 세계 40위권 밖인 나라 등 10개국을 빼면 실질 임금 하락폭이 한국보다 더 큰 국가는 18개국 중 영국, 일본, 이스라엘 등 3개국뿐이었다.
반면 이 기간 우리나라의 실질 노동생산성은 비교대상 18개국 가운데 가장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종규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임금 없는 성장'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지만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었던 국가들을 빼면 우리나라의 '임금 없는 성장'이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실질 노동생산성이 가장 빠르게 증가한 반면 실질 임금 증가속도는 가증 느린 편으로 양자의 격차가 비교대상국 가운데 가장 크게 벌어졌다는 의미다.
박 연구위원은 "실질 임금이 노동생산성에 맞춰 늘어나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정책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New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