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민호기자] 최근 세월호 참사와 통신사의 개인정보유출 사건 등을 통해 언론 스스로 신뢰성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공론의 장이 마련됐다.
미디어미래연구소는 25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미디어리더스포럼 제2회 조찬세미나를 개최하고 세월호 참사와 카드사 및 통신사의 개인정보유출 대란과 관련해 미디어의 역할을 평가하는 자리를 가졌다.
세미나의 연사로 나선 김국진 소장은 ‘21세기 디지털 시대 미디어의 역할:안전하고 역동적인 사회를 위한 미디어의 역할’을 주제로 강연했다.
김소장은 현재 세계는 재난의 위험성이 잠재적으로 상존하고 있는 위험사회를 살고 있으며 위험 자체를 상시 관리,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현대 사회에서 위험은 자연적 위험에서뿐만 아니라 기술적?사회적 위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커뮤니케이션 실패’가 이러한 위험을 증폭시키고 변화시킨다는 것.
김소장은 방송사들이 세월호 전원구조 오보를 내고 이를 관련부처가 다시 인용한 사례를 언급하며, 시청률을 인식한 미디어 간 속보경쟁이 오보와 자극적인 보도를 만들고, 결과적으로 사회혼란과 불안을 가중시켰다고 지적했다.
또 이번 세월호 관련 보도를 분석한 결과, 현재 우리사회 미디어는 잠재적인 위험에 대한 의제설정 기능이 부재하고 재난 발생 이후의 사후적 진단과 일회적 보도에 급급한 아날로그적 접근보도가 만연해 있다고 말했다.
김소장은 21세기 위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의 회복이라고 주장했다.
대한민국이 신뢰사회를 구축하지 못하면 정보 홍수시대에 오히려 마실 물이 없는 현상이 벌어지게 되며, 이는 정보홍수가 편리와 성장의 키워드가 아니라 재난의 악순환을 야기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소장은 언론이 과거처럼 단순히 정보 전달 매체로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의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함으로써 신뢰사회 구축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는 언론 스스로도 신뢰성을 인정받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한민국을 신뢰사회로 만들기 위해서 투명성, 책임성, 그리고 개인의 자기정보결정권 보장이 필요하며, 미디어가 이를 위해 제 역할을 해야 뜻이다.
한편 김 소장은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는 시민이 재난 예방과 대응, 그리고 복구의 전 과정에 참여가 가능한 정보시스템으로 거듭나야 한다"며 "21세기 미디어 정책도 정보복지 철학에 기반을 둔 미디어의 역할 재정립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박민호 기자)